[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多聞闕疑 (다문궐의)
▶한자풀이
多: 많을 다
聞: 들을 문
闕: 빼놓을 궐
疑: 의심할 의


많이 듣되 의심나는 것은 제쳐두다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
- <논어>

다문궐의(多聞闕疑)는 많이 듣되 그중에 의심나는 것은 제쳐둔다는 뜻이다. 다양한 의견을 듣고 그중 의심스럽지 않을 것에 대해 조심스레 말하면 잘못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로, 주로 공직자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출처는 <논어> 위정(爲政) 편이다.

제자 자장(子張)이 벼슬을 구하는 방법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많이 듣고서 그중에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말한다면 허물이 적어질 것이다. 그리고 많이 보고서 그중에 위태로운 것을 빼놓고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행한다면 후회가 적어질 것이다. 말하는 데 허물이 적고 행하는 데 후회가 적으면 녹봉과 벼슬자리는 바로 그 가운데 있을 것이다(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다문궐의(多聞闕疑)와 다견궐태(多見闕殆)는 공자가 강조한 나랏일을 맡은 자들의 겸손하고 신중한 처신이면서 모든 사람에게 두루 적용되는 올바른 몸가짐이기도 하다. 다양한 관점과 입장에서 이야기를 듣거나 보고 그중 확실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고 행동을 신중히 하면 실수와 과오를 줄일 수 있다. 말과 행동이 신중하면 잘못이나 실수는 그만큼 줄어든다. 공자는 경청하고 의심하며 신중히 판단하는 습관을 몸에 배게 하는 것이 공직자의 기본자세라고 본 것이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다문궐의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면서 확증편향에 쉽게 빠지는 현대인에게 던지는 의미가 크다. 특히 우리 사회에는 이념으로 내 편 네 편을 가르는 확증편향이 심하다. 내 편 목소리만 듣지 말고 다양한 견해를 두루 듣고, 의심나는 것은 제쳐두면 말과 행동에 잘못이 줄어든다. 인간은 흔히 ‘이성적 동물’로 불리지만, 그 이성에는 ‘의심’이 포함된다. 두루 보고 멀리 보자. 내 편 네 편의 관점이 아니라 보편적 관점에서 세상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