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풀이
必: 반드시 필
作: 지을 작
於: 어조사 어
細: 가늘 세
모든 일은 반드시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
작은 것을 놓치지 않아야 큰일이 안 생긴다
- <도덕경>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이고, 대해(大海)도 시작은 물 한 방울이다.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닿으려면 낮은 곳부터 올라야 한다.
도가(道家)의 이치를 담은 <도덕경>에는 노자의 정언약반(正言若反)식 문구가 많다. ‘빛나도 눈부시지 마라’, ‘곧아도 찌르지 마라’, ‘진짜 크면 소리가 없다’ 등 바른말은 반대인 듯이 들린다는 것이 정언약반식 화법이다.
<도덕경> 63장에는 “세상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시작되고(天下難事 必作於易), 세상의 큰일은 반드시 작은 일에서부터 일어난다(天下大事 必作於細)”는 구절이 있다. 뒤에는 “이런 이치로 성인은 끝내 일을 크게 벌이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에는 큰일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개 쉽게 하는 승낙에는 믿음이 부족하고, 사태를 너무 쉽게 보면 반드시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은 오히려 모든 일을 어렵게 대한다. 그래서 종래 어려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 노자의 정언약반식 어법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필작어세(必作於細)는 모든 일은 반드시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쉬이 여기지 않아야 큰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의미다. 노자는 “작은 것을 크게 보고, 적은 것을 많게 보며, 어려운 일을 하려는 자는 쉬운 일부터 하고, 큰일을 하려는 자는 작은 일부터 한다”고 했는데, 위의 문구와 뜻이 일치한다. <도덕경> 15장에는 성인의 형상을 “조심조심 하는구나! 마치 살얼음 낀 겨울 내를 건너는 듯 신중하구나. 신중하구나! 마치 사방을 경계하는 듯 진중하구나”라고 표현한 구절이 있다.
작은 것이 부실하면 큰 것은 절로 무너진다. 징검다리가 부실하면 시내를 건너 강에 닿을 수 없고, 토대가 부실하면 그 위에 기와집을 지을 수 없다. 큰 것을 이루려면 작은 것들이 단단히 영글어야 한다. 만물은 작은 것 속에서 커진다.
必: 반드시 필
作: 지을 작
於: 어조사 어
細: 가늘 세
모든 일은 반드시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
작은 것을 놓치지 않아야 큰일이 안 생긴다
- <도덕경>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이고, 대해(大海)도 시작은 물 한 방울이다.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닿으려면 낮은 곳부터 올라야 한다.
도가(道家)의 이치를 담은 <도덕경>에는 노자의 정언약반(正言若反)식 문구가 많다. ‘빛나도 눈부시지 마라’, ‘곧아도 찌르지 마라’, ‘진짜 크면 소리가 없다’ 등 바른말은 반대인 듯이 들린다는 것이 정언약반식 화법이다.
<도덕경> 63장에는 “세상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시작되고(天下難事 必作於易), 세상의 큰일은 반드시 작은 일에서부터 일어난다(天下大事 必作於細)”는 구절이 있다. 뒤에는 “이런 이치로 성인은 끝내 일을 크게 벌이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에는 큰일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개 쉽게 하는 승낙에는 믿음이 부족하고, 사태를 너무 쉽게 보면 반드시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은 오히려 모든 일을 어렵게 대한다. 그래서 종래 어려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 노자의 정언약반식 어법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필작어세(必作於細)는 모든 일은 반드시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쉬이 여기지 않아야 큰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의미다. 노자는 “작은 것을 크게 보고, 적은 것을 많게 보며, 어려운 일을 하려는 자는 쉬운 일부터 하고, 큰일을 하려는 자는 작은 일부터 한다”고 했는데, 위의 문구와 뜻이 일치한다. <도덕경> 15장에는 성인의 형상을 “조심조심 하는구나! 마치 살얼음 낀 겨울 내를 건너는 듯 신중하구나. 신중하구나! 마치 사방을 경계하는 듯 진중하구나”라고 표현한 구절이 있다.
작은 것이 부실하면 큰 것은 절로 무너진다. 징검다리가 부실하면 시내를 건너 강에 닿을 수 없고, 토대가 부실하면 그 위에 기와집을 지을 수 없다. 큰 것을 이루려면 작은 것들이 단단히 영글어야 한다. 만물은 작은 것 속에서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