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
▶ 한자풀이
過: 허물 과
則: 곧 즉
勿: 말 물
憚: 꺼릴 탄
改: 고칠 개


잘못이나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
- <논어>

공자는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이 더 큰 허물이라고 했다. 누구나 잘못과 허물이 있지만 이를 알고도 고치기를 주저하면 더 큰 잘못, 더 큰 허물이 된다는 것이다. <논어> 학이편에는 공자가 군자의 수양에 대해 말하는 대목이 나온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어 학문을 해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忠)과 신(信)을 주장으로 삼으며, 자기보다 못한 자를 벗으로 삼으려 하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잘못이 있는데 고치기를 주저하면 같은 잘못을 다시 범할 위험이 있고, 잘못은 또 다른 잘못을 낳을 수 있으므로 허물을 고치는 데 꺼리지 말고 즉시 고치도록 최선을 다하라는 것이다.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도 스승의 가르침을 받들어 “군자는 잘못을 범하였을 때 모든 사람이 이를 알 수 있도록 바로 고쳐야 한다”라고 했다.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 안회(顔回)에 대해서는 ‘과불이(過不貳, 같은 잘못을 두 번 되풀이 하지 않음)’라 하며 그를 크게 칭찬했다.

위(衛)나라 재상 거백옥은 어진 성품으로 유명했다. 그는 공자와도 친교가 있었는데, 거백옥에게서 어느 날 사자(使者)가 왔다. 공자가 거대인의 안부를 물으니 사자가 답했다. “주인께서는 잘못을 줄이려고 애쓰고 계십니다만, 아직도 잘못을 줄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공자는 그 말을 듣고 거백옥과 사자를 높이 평가했다. 공자는 <논어> 자장편에서 “덕이 없는 자는 잘못을 저지르면 그것을 고칠 생각은 않고 꾸며서 얼버무리려고 한다(小人之過也 必文)”라고 꼬집었다. 누구나 허물이 있고 실수나 잘못을 저지른다. 하지만 허물을 감추면 더 큰 허물이 되고, 잘못을 고치지 않으면 더 큰 잘못을 저지른다. 진정으로 용기 있는 자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이를 고쳐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