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松茂柏悅 (송무백열)
▶ 한자풀이
松: 소나무 송
茂: 무성할 무
柏: 잣나무 백
悅: 기쁠 열


소나무의 무성함을 잣나무가 기뻐함
남이 잘되는 것을 좋아함을 이름
- <탄서부(歎逝賦)>

중국 서진의 문인 육기(陸機)가 쓴 <탄서부(歎逝賦)>에는 이런 글이 나온다. “진실로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지초가 불타자 혜란이 탄식하네(信松茂而柏悅 嗟芝焚而蕙歎).”

송무백열(松茂柏悅)은 ‘소나무의 무성함을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백(柏)은 원래 측백나무를 가리키지만, 현재는 잣나무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겨울이 되어도 푸른 빛을 잃지 않아 예부터 선비의 꼿꼿한 지조와 기상을 상징한다. 송백지조(松柏之操, 송백의 푸른 빛처럼 변하지 않는 지조), 송백지무(松柏之茂, 언제나 푸른 송백처럼 오래도록 영화를 누림) 등이 그 예다. 공자는 “날이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까지 푸르름을 안다”라고 했다. 소나무와 잣나무를 인간의 지조에 빗댄 것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도 공자의 이 말에서 제목을 빌려온 듯하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푸르면서도 서로 모습이 비슷해 흔히 가까운 벗을 비유하는 데 사용한다. 송무백열이 대표적 사례다. 혜분난비(蕙焚蘭悲)는 혜란이 불에 타니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이 또한 벗의 깊은 우정을 이르는 말이다. 혜(蕙)는 난초의 한 종류다.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백아(伯牙)는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알아주던 절친한 벗 종자기(種子期)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는 타지 않았다. 백아절현(伯牙絶絃)은 여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평생 진정한 벗 한 명 얻는 게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울면 함께 울고 웃으면 혼자 웃는다”라는 말이 있다. 남의 슬픔을 공감하고 눈물을 흘리기는 쉬워도 남이 잘되는 것을 진심으로 축하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이웃의 즐거움을 함께 기뻐해라. 그래야 내가 즐거울 때 이웃이 함께 웃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