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은 1957년 완간된 <조선말 큰사전>(한글학회 간)에서 '-다 하면'의 준말('제가 힘이 세다면 얼마나 세랴?')로 나온다.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체 인구 대비 만 65세 이상의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도 눈앞에 다가왔다. 이에 따라 고령 빈곤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덩달아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언론에서도 이와 관련한 보도가 부쩍 늘었다. “이미 중장년층이 된 사람들은 퇴직연금을 운용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아 소극적으로 운용한다면(①) 젊은 세대는 상품 투자나 IRP 계좌 가입 등이 더 활발하다. 퇴직 이후에 본인의 연금 소득이 궁금하다면(②) 금융감독원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는데’로 써야 할 곳도 ‘-다면’으로 써주목해야 할 부분은 2개의 ‘-다면’이다. 똑같은 말인데, 쓰임새는 서로 다르다. ①에선 앞·뒷절이 의미상 대등절로, 앞절과 뒷절에서 각각 실제로 일어난 2개의 정보를 대비하고 있다. 이에 비해 ②에선 앞·뒷절이 ‘조건절-주절’ 구조다. 의미도 앞절에서 어떤 사실을 가정해 조건으로 삼는 뜻을 담았다.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②가 원래의 제대로 된 용법이다. ①은 최근 많이 보이는 쓰임새인데, 아직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다. 온전한 용법으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이 용법이 있다. “뒷절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이야기를 도입함을 나타내는 말(-ㄴ다면)”로 풀이했다.
연결어미 ‘-다면’은 우리말에서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기에 이런 차이를 가져왔을까? 그 연원을 추적하다 보면 우리말 어미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다면’은 1957년 완간된 <조선말 큰사전>(한글학회 간)에서 ‘-다 하면’의 준말(‘제가 힘이 세다면 얼마나 세랴?’)로 나온다. 이는 1987년 <새우리말 큰사전>(삼성출판사)을 거쳐 1991년 금성판 <국어대사전>까지 그대로 이어져 왔다. 그러다 1999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어떤 사실을 가정해 조건으로 삼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내가 너처럼 건강하다면 좋겠다’)와 나)‘-다고 하면’이 줄어든 말(‘젊은이를 보고 늙었다면 말이 되오?’)로 풀이가 세분화됐다. 가)와 나)는 문법 구조도 다른 데다 의미상 다소 차이가 있어 시일이 흐르면서 ‘-다면’의 쓰임새가 넓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면’ 용법 사전에 올려 혼란 줄여야가)와 나)의 공통분모는 ‘-면’이다. 이 ‘-면’의 의미와 쓰임새를 알면 ‘-다면’의 전통적 용법이 드러날 것이다. <조선말 큰사전>에서는 ‘-면’을 가설적 조건을 나타내는 어미로 풀었다. 이런 용법은 이후 1980년대를 거쳐 모든 국어사전에 공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와서 ‘-면’은 좀 더 세분화된 풀이로 설명되지만, 이 역시 기본 쓰임새는 ‘어떤 사실을 가정해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어미 ‘-다면’은 예문 ②에 쓰인 게 전통적 용법이란 것이 드러난다.
그럼 예문 ①의 ‘운용한다면’은 문법적으로 어떻게 써야 적절할까? 사전 풀이가 바뀌지 않는 한 ‘…운용하는데’ 식으로 연결해야 자연스럽다. ‘-ㄴ데’는 ‘뒷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기 위해 그 상황을 미리 말할 때 쓰는 연결어미’다. ①의 확장된 ‘-다면’ 용법과 거의 같다.
다음 글에 쓰인 연결어미 ‘-는데’와 ‘-다면’을 통해 두 어미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예전에는 가족과 함께 살다가 사별·이혼 등으로 혼자 사는 사람이 많았는데, 점점 자발적 선택으로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1인 가구의 나이대도 예전에는 65세 이상 어르신이 많았다면, 점점 50대, 40대 1인 가구가 많아지고 있다.” 두 문장은 각각 앞절과 뒷절이 대구를 이루는 구조인데, 앞 문장에서는 ‘-는데’를, 뒷문장에서는 ‘-다면’을 썼다. 우리는 이제 앞 문장 구조가 전통적으로 써 오던, 즉 어법에 맞는 문장임을 알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뒤 문장의 ‘-다면’ 용법도 그리 어색하지 않다. 다만 문법적으로 설명할 근거가 별로 없을 뿐이다. 시급히 이 용법을 사전에서 수용해야 할 이유다. 그래야 언중이 더 이상 문법적 혼란을 겪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