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공부는 엉덩이 힘"이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성적이 공부량과 그대로 비례하지는 않아도, 공부를 많이 했을 때가 덜 했을 때보다 성적이 좋을 확률이 당연히 높겠죠.
학업 멘토링 때 가장 인상에 남은 질문 중 하나는 “열심히 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였습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도, 남들이 보기에도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같은데 성적은 그대로인 경우가 꽤 많습니다. 저도 한때 같은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던 입장에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리겠습니다."공부는 엉덩이 힘"이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성적이 공부량과 그대로 비례하지는 않아도, 공부를 많이 했을 때가 덜 했을 때보다 성적이 좋을 확률이 당연히 높겠죠.
먼저 ‘노력’의 측면을 보겠습니다. 가슴에 손을 얹고 다시 생각해 봅시다. 과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나요? 경쟁자들만큼, 아니 경쟁자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나요? 그렇다고 대답했다면, 축하드립니다. 다음 문단을 읽으러 넘어가도 됩니다. 그러나 반성하고 있다면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이 시급합니다. “공부는 엉덩이 힘”이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성적이 공부량과 그대로 비례하지는 않아도, 공부를 많이 했을 때가 덜 했을 때보다 성적이 좋을 확률이 당연히 높겠죠.
물론 공부 시간만이 중요한 건 아닙니다. 공부 ‘시간’에 너무 집착하지 마세요. 공부도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마다 한 번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 머리 식힐 때 공부하는 과목 등 공부에 대한 선호가 천차만별이잖아요. 본인에게 맞는 공부 루틴을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저는 한 과목을 오랫동안 공부하며 약 2시간 간격으로 쉬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그리고 머리를 식히고 싶을 때는 비교적 간단한 수학 문제를 풀었고, 가장 싫어하는 과목인 국어는 아침 일찍 공부해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앞서 얘기한 노력, 그리고 공부 루틴 측면에서 이미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 공부하는 방법을 바꿔 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공부 방법’이라는 것은 굉장히 포괄적 개념입니다. 예시를 들겠습니다. 먼저 암기 방법의 경우 필기를 하면서 외우기, 여러 번 밑줄 치면서 읽기, 소리 내어 읽기 등의 방법이 있겠죠. 개인적으로 저는 공책에 필기하면서 목차를 만들어 큰 틀을 정리하고, 항목별 세부 내용은 소리 내어 읽으면서 암기하는 방법을 선호했습니다. 문제 풀이가 중요한 과목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누구는 문제를 풀면서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좋아하는 반면, 개념을 완벽하게 소화한 뒤 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또 오답 노트를 따로 만드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저처럼 단순히 문제집에 표시만 해 두고(헷갈렸으나 맞았으면 세모, 틀렸으면 별 표시) 나중에 다시 풀어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공부 방식에 정답은 없습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공부 루틴과 방법을 차근차근 만들어가 길 바랍니다.
이예린 서울대 경제학부 22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