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샛 경제학
(115) 록인 효과 < Lock-in Effect >
(115) 록인 효과 < Lock-in Effect >

트레이더스는 유료 멤버십 고객에게 연회비를 받고, 특정 상품에 높은 할인율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트레이더스 매장 가격표 중 일부는 기존 가격과 멤버십 가입 고객을 위한 가격을 같이 표기해 뒀죠. 아직 초기여서 미비한 요소들도 보입니다. 멤버십 고객에게 주는 특별 할인 상품인 ‘빅 웨이브 아이템’이 적고, 스탠다드(연회비 3만원), 프리미엄(연회비 7만원) 고객 사이의 차별화된 서비스도 불분명합니다. 이 같은 우려에도 트레이더스가 변화를 꾀하는 이유는 바로 유료 멤버십을 통해 고객을 묶어두기 위한 ‘록인 효과(자물쇠 효과)’ 때문입니다. 유통업의 온·오프라인 경계가 불분명해지면서 충성 고객이 많아지면 확실한 매출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성 고객을 바탕으로 다양한 마케팅 및 사업을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죠. 기업 간 충성고객 확보전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록인 효과가 존재합니다. 전자업계에서도 나타나는데, 애플의 운영체제인 iOS와 연결된 제품과 서비스들이 대표적인 록인 효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애플의 iOS는 휴대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과 연계된 편리성으로 고객을 사로잡았습니다. 애플의 고객은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로 바꾸고 싶어도 이런 장점을 포기해야 하는 ‘전환비용’이 발생해 한번 애플 제품을 이용한 고객은 계속 그 제품과 서비스의 혜택을 누립니다. 애플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뮤직, TV, 클라우드 등 일정 금액을 결제해 사용하는 구독 서비스가 대표적이죠. 애플 생태계 안에서 제품 간 호환성으로 탄탄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든 다양한 서비스로 수익원을 창출합니다.
삼성전자도 이에 대응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의 운영체제와의 호환성을 강화해 갤럭시 생태계를 조성, 고객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록인 효과를 노리는 기업 간의 경쟁 속에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지에 대한 여러 선택지로 행복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정영동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