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풀이
見: 볼 견
蚊: 모기 문
拔: 뽑을 발
劍: 칼 검
모기를 보고 칼을 뽑아든다
사소한 일에 과민하게 대응함
- <위략(魏略)>
<위략(魏略)>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위나라 사람 어환(魚)이 지은 이 책 ‘기리전’에는 한 노인의 얘기가 전해온다.
조조에게 인정받아 대사농(大司農: 재정을 담당하는 관리)까지 지낸 왕사(王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노년에는 성질 고약한 고집불통으로 변해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는 탓에 ‘가혹한 관리(苛吏)’로 불렸다. 성미가 급해서 글을 쓰는 데 파리(蠅)가 붓끝에 앉자 두세 번 쫓은 뒤 또 날아오니 화를 내며 일어나 쫓아냈고, 그래도 다시 오자 붓을 땅에 던지고 밟아 망가뜨렸다.
이 고사는 조선에도 전해졌다. 세종의 명으로 만들어진 <운부군옥>을 비롯해 19세기 <송남잡지> <이담속찬> 등의 사전류와 속담집에도 나온다. 다만 왕사의 고사를 밝히되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모기를 쫓아내느라 칼을 뽑아 든다’는 견문발검(見蚊拔劍)으로 바뀌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거나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대응하는 것, 작은 일을 하는 데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쓰는 것 등을 비유한다. 노승발검(怒蠅拔劍)으로도 쓴다.
견문발검은 <논어>에 나오는 우도할계(牛刀割鷄)와 뜻이 닿는다. 우도할계는 닭을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쓴다는 의미로,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지나치게 큰 수단을 사용함을 빗댄 말이다. 공자가 제자 자유(子遊)가 다스리는 무성에 와 보니 마을 곳곳에서 거문고 소리에 맞춰 노래하는 소리가 들렸다. 자유가 예악(禮樂)으로 그곳 백성들을 교화하는 것을 본 공자가 흐뭇한 마음에서 “닭을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느냐”고 한 농(弄)에서 비롯한 고사성어다.
수단은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수단이 너무 크면 불필요한 낭비가 되고, 수단이 너무 작으면 뜻에 미치지 못한다. 그 적당함을 아는 게 지혜다. 쥐를 잡는 데는 천리마보다 고양이가 낫다. 작은 구멍을 막는 데는 말뚝이 궁궐의 들보보다 요긴하다.
見: 볼 견
蚊: 모기 문
拔: 뽑을 발
劍: 칼 검
모기를 보고 칼을 뽑아든다
사소한 일에 과민하게 대응함
- <위략(魏略)>
<위략(魏略)>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위나라 사람 어환(魚)이 지은 이 책 ‘기리전’에는 한 노인의 얘기가 전해온다.
조조에게 인정받아 대사농(大司農: 재정을 담당하는 관리)까지 지낸 왕사(王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노년에는 성질 고약한 고집불통으로 변해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는 탓에 ‘가혹한 관리(苛吏)’로 불렸다. 성미가 급해서 글을 쓰는 데 파리(蠅)가 붓끝에 앉자 두세 번 쫓은 뒤 또 날아오니 화를 내며 일어나 쫓아냈고, 그래도 다시 오자 붓을 땅에 던지고 밟아 망가뜨렸다.
이 고사는 조선에도 전해졌다. 세종의 명으로 만들어진 <운부군옥>을 비롯해 19세기 <송남잡지> <이담속찬> 등의 사전류와 속담집에도 나온다. 다만 왕사의 고사를 밝히되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모기를 쫓아내느라 칼을 뽑아 든다’는 견문발검(見蚊拔劍)으로 바뀌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거나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대응하는 것, 작은 일을 하는 데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쓰는 것 등을 비유한다. 노승발검(怒蠅拔劍)으로도 쓴다.
견문발검은 <논어>에 나오는 우도할계(牛刀割鷄)와 뜻이 닿는다. 우도할계는 닭을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쓴다는 의미로,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지나치게 큰 수단을 사용함을 빗댄 말이다. 공자가 제자 자유(子遊)가 다스리는 무성에 와 보니 마을 곳곳에서 거문고 소리에 맞춰 노래하는 소리가 들렸다. 자유가 예악(禮樂)으로 그곳 백성들을 교화하는 것을 본 공자가 흐뭇한 마음에서 “닭을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느냐”고 한 농(弄)에서 비롯한 고사성어다.
수단은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수단이 너무 크면 불필요한 낭비가 되고, 수단이 너무 작으면 뜻에 미치지 못한다. 그 적당함을 아는 게 지혜다. 쥐를 잡는 데는 천리마보다 고양이가 낫다. 작은 구멍을 막는 데는 말뚝이 궁궐의 들보보다 요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