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矯枉過正 (교왕과정)
▶한자풀이
矯: 바로잡을 교
枉: 굽을 왕
過: 지날 과
正: 바를 정

구부러진 것을 펴려다 거꾸로 굽는다
잘못을 고치려다 되레 더 나빠짐
-<후한서(後漢書)> 등

후한의 원강이 지은 오나라 월나라 역사서 <월절서(越絶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원수를 갚고 적을 치는 것은 그 지성이 하늘에 통하지만 잘못을 고치려다가 오히려 정도가 지나친다(子之復仇 臣之討賊 至誠感天 矯枉過直).’

<후한서(後漢書)>에도 뜻이 같은 문구가 있다. ‘나라가 잘 다스려지면, 사람들은 부정한 기풍과 혼란을 바로잡기를 바라는데 구부러진 것을 바로잡으면서 마땅한 정도를 지나치기도 한다(復入于矯枉過正之檢).’

교왕과정(矯枉過正)은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 반대로 굽는다는 뜻이다. 흠을 고치려다 정도가 지나쳐 되레 나쁜 결과를 불러오는 것을 꼬집는 말이다. 교왕과직(矯枉過直)으로도 쓴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는 우리 속담과 뜻이 비슷하다. 작은 일에 힘쓰다 큰일을 그르친다는 소탐대실(小貪大失)과도 문맥이 닿는다.

쇠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교각살우(矯角殺牛)는 우리 귀에 더 익은 한자성어다. 중국에서는 예전에 종을 처음 만들 때 뿔이 곧게 나고 잘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한 농부가 제사에 올릴 쇠뿔이 조금 삐뚤어져 이를 바로 바로잡으려다 뿔이 뿌리째 빠져서 소가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이 또한 작은 흠을 고치려다 수단이 지나쳐 일을 망치는 것을 비유한다.

자공이 스승 공자에게 물었다.

“자장과 자하는 누가 낫습니까.”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

“그렇다면 자장이 낫다는 말씀이신지요.”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矯枉過正 (교왕과정)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논어> 선진편에 나오는 대화다.

훈계도 지나치면 잔소리가 되고, 관심도 지나치면 간섭이 된다. 적당한 순간에 멈추는 것, 그게 곧 지혜다. 하지만 인간은 한발 더 내딛기를 욕망한다. 거기에 자주 함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