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仁者不憂 (인자불우)
▶한자풀이
仁 : 어질 인
者 : 사람 자
不 : 아닐 불
憂 : 근심 우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는다
인한 사람은 양심에 꺼릴 게 없다는 뜻
- 《논어(論語)》

유가(儒家)와 도가(道家)는 생각이 많이 다르다.

유가는 높이 오르라 하고, 도가는 넓게 품으라 한다. 유가는 군자와 소인을 가르지만, 도가는 선을 긋는 건 피아(彼我)만 구별지을 뿐이라고 한다. 《도덕경》은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로 시작한다. 도(道)를 도라고 부르면 이미 도가 아니라는 뜻이다. 모든 것은 변하며 고정된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논어》는 학(學)으로 시작된다. 성현의 말씀을 배우고 익히는 것은 유가 최고의 덕목이다. 두 사상 다 나름의 뜻이 깊다. 상반된다고 서로 어긋난 게 아니다. 뜻이 서로 다를 뿐이다.

유가는 인(仁)을 중시한다. 그러다 보니 인이 포함된 한자성어가 많다. 인자불우(仁者不憂)는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어진 사람은 도리(道理)에 따라 행하고 양심에 거리낌이 없으므로 근심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하는 일이 없고, 어진 사람은 근심할 일이나 걱정할 일이 없으며, 용기 있는 사람은 두려워할 일이 없다(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공자는 이를 군자의 세 가지 도(道)라고 불렀지만, 자신은 이 가운데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했다. 공자가 성인인 이유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인자무적(仁者無敵)은 어진 사람은 널리 사람을 사랑하므로 적이 없다는 말로, 《맹자》에 나온다. 《논어》에 나오는 인자요산(仁者樂山)은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어진 사람은 모든 일을 도의(道義)에 따라 행하기 때문에 행동이 신중하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같다는 말이다. 지자요수(智者樂水)는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사리(事理)에 밝은 사람은 이치에 통달해 정체함이 없어 마치 물이 자유로이 흐르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모는 것은 바로 시작된다. 내가 맑으면 맑은 고기가 모이고, 내게서 악취가 나면 파리가 꼬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