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국제대전' 임진왜란, 승자는 누구인가 (下)
임진왜란 최초의 전투가 벌어졌던 부산진성.
임진왜란 최초의 전투가 벌어졌던 부산진성.
정부는 백성과 유생들을 동원해 해안 일대에 성을 구축했다. 그런데 이 정책은 선비들뿐만 아니라 백성의 불만을 낳아 추진하기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전쟁 직전 상황에서는 평화를 앞세우는 온건파와 전쟁을 우려하는 강경파 간 갈등이 벌어지고, 권력투쟁으로 비화한다. 보통 불안과 희생을 피하려는 대중이 지지하는 온건파가 승리하고, 전쟁이 일어나면 강경파가 상황을 수습하는 데 적극적이고, 영웅 대접을 잠시 받는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면 온건파가 강경파를 강제로 몰아낸다. 임진왜란 때도 이런 현상이 비일비재했고, 이후 지금까지도 변하지 않는다.

셋째, 지배계급인 양반의 체질과 성리학의 사상적 한계가 작용했다. 양반은 기본적으로 육체노동을 천시하고, 스스로 생산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 ‘문(文)’을 중시하고 ‘무(武)’를 천시해 국방 등의 민족 모순에 둔감했고, ‘사대’란 미명하에 명나라에 의존했다. 조선 특유의 성리학적 세계관은 양반의 이런 특권과 인식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또한 군사력을 보유한 무반의 성장을 두려워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한했다. 건국 초기를 지나면서 문반이 국방에 직접 관여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넷째, 백성의 불만이 커지고, 민심이 이반됐다. 중종 이후가 되면서 양반사회의 모순은 심각해졌다. 신분제도가 심해지면서 고착화됐고, 사대 사화를 겪은 뒤에는 동서로 갈라져 성리학을 내걸고 권력 쟁탈전에 몰두했다. 명종 때의 ‘임꺽정의 난’, 심지어는 전쟁 도중 발생한 ‘이몽학의 난’ 등에서 나타나듯 조선의 정체는 물론 국체까지 부정하는 세력이 곳곳에서 성장했다. 임진왜란 전세의 변화 양상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에게 투항한 순왜(順倭)들이 생겼는데, 의외로 많았다고 한다. 그중에는 향도 등으로 적의 군사활동에 참여하는 이도 있었다. 분명한 사실은 백성들, 특히 천민은 초기에는 항전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임해군과 순화군이 강원도와 황해도 일대에 군사를 모으러 갔을 당시 그들의 교만한 행동에 분노한 지역민들은 일본군에 밀고해 그들을 포로로 넘겼다. 《선조 수정실록》에 따르면 일부 백성은 심지어 선조 일행의 탈출 행렬을 가로막고, 후에는 경복궁 등에 난입해 방화하고 약탈을 벌였다. 당시 장예원에 불을 질러 노예 명부 등을 태웠고, 이때 경복궁 등이 타버렸다. 한마디로 임진왜란 초기 조선은 국정 수행능력과 국방 시스템, 공동체 의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1592년 중반에 들어서면서 전쟁에 서서히 변화가 생겼다.

일본군은 전혀 다른 조선의 정치체제와 행정조직상 특성 때문에 정복 계획에 차질이 생겼고, 한반도의 자연환경에 걸맞은 전투방식에 미숙했다. 본국과의 유기적인 작전에 차질이 생겼고, 다이묘로 구성된 각 군과의 협조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반면 조선군은 초기 혼란 상태를 벗어나 군대를 재정비하고,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작전을 시작해 진주성 전투 등에서 승리하기 시작했다. 이순신 승리·명나라 참전무엇보다 모든 전선에서 곽재우·고경명·조헌 같은 의병이 백성과 함께 신속히 등장했다. 초기에는 국외자적 인식을 가지고 전쟁을 봤으나 백성들과 나라의 운명이 걸렸다는 인식이 점차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확산된 탓이다. 또한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효율적인 작전으로 완벽한 승리를 거두면서 일본 육군의 활동은 크게 제약되고, 보급로가 끊겼다. 그리고 명나라가 우수한 무기를 갖춘 대병력으로 참전을 시작했다.

놀랍고 유감스러운 사실이지만 임진왜란의 발발 과정과 정부의 대응 방식, 결과를 보면 1950년의 6·25전쟁과 너무나 닮았다. 인간은 언제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간파할 수 없다. 따라서 역사를 살펴보면서 진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다.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전쟁 초기 조선 국정수행·국방시스템·공동체의식 심각…일본군 전략·전술 혼란 겪을때 군대 정비하고 반격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