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3.3㎡당'에서 벗어날 때가 됐다. '㎡당'을 쓰면 된다. 그것이 우리말을 합리적이게 쓰는 방법이다. 또 하나, '평'은 일본어투의 잔재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 땅을 측량하면서 쓰던 일본식 단위다.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한국인은 커피를 참 좋아하는 것 같다. 12월 초 나온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월까지 전국에서 새로 문을 연 커피전문점이 1만5000개 가까이 된다고 한다. 저가브랜드 대형 매장 중에선 ‘빽다방’이 영업실적이 제일 좋았다(공정거래위원회 자료). 3.3㎡당 평균 매출이 2230만원으로 가장 많다. 형태는 미터법 … 내용은 ‘평’ 개념 못 벗어우리말에서 ‘3.3㎡당 얼마’ 식의 표현이 언제부터인지 많이 쓰인다. 대략 2010년 전후해 언론을 통해 소개된 말이다. 원래는 ‘평당 얼마’로 쓰던 말이다. 3.3㎡당은 미터법에 따른 표기이고, 평당은 전통적인 계량 단위로 쓴 것이다. 전통적 도량형 단위를 ‘척관법’이라고 부른다. 넓이의 ‘평’이나 무게의 ‘근’, 거리의 ‘리’ 등이 척관법에 따른 대표적 용어다.

우리나라는 1964년 미터법 단위를 법정계량단위로 채택해 비법정계량단위 사용을 금지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척관법이 함께 쓰이는 등 실생활에서 쉽게 자리잡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07년부터 수년에 걸쳐 본격적인 홍보 및 계도 활동을 펼쳤다. 그러면서 생겨난 변칙적인 표현이 ‘3.3㎡당’이다. 미터법 도입으로 평당을 못 쓰니까 대안으로 생겨난 말이다.

원래는 ‘㎡당 얼마’로 나타내는 게 정상적 표현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점포나 주택의 넓이를 따질 때 여전히 ‘평’ 개념을 떠올렸다. 그래서 나온 게 ‘3.3㎡당 얼마’ 같은 어정쩡한 표현이다. 미터법상 ‘평’을 쓰지 못하니까 형태만 ㎡로 표시한 것이다. 겉모양은 미터법 형식을 취했지만, 그것은 흉내만 낸 것이고 알맹이는 여전히 평 개념을 버리지 못한 셈이다. 10년 넘게 그렇게 써 왔다. 제대로 된 미터법으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식 도량 단위 ‘평’, 이젠 버려야 할 때‘평’의 퇴출과 함께 ‘평형’이란 말도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평형이란 아파트 크기를 따질 때 쓰던 말이다. 지금은 ‘주택형’을 쓴다. “모든 주택형이 1순위에서 청약 마감됐다” 식이다. 주택업계에서도 ‘주택형’으로 대체한 지 오래됐다.

평형을 대신하는 말로 ‘유닛(unit)’도 쓰인다. “견본주택을 지을 때 유닛 1개에 보통 5억원이 든다”라고 한다. 이때의 유닛은 일종의 모형가구로 ‘평형’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뜻을 정확히 모르는 사람에게는 어렵게 느껴진다. 이런 말보다는 ‘주택형’이 쉽고 친숙하다.

우리나라에서 미터법은 학교 교육을 비롯해 언론을 통한 지속적 계도 활동 등으로 비교적 잘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평 개념이 여전히 남아 있다. 3.3㎡당 같은 변칙적 표현이 쓰이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1평은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3.3㎡인데, 가로 세로가 각각 1.8m 정도 크기다. 이 넓이는 대략 어른 한 명이 큰 대(大) 자로 드러누울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평 개념은 세밀하지는 않지만 실생활에서 눈짐작으로 어림하기엔 제법 효율적인 것이었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이제 우리말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방황하던 표현 ‘3.3㎡당’에서 벗어날 때가 됐다. ‘㎡당’을 쓰면 된다. 그것이 우리말을 합리적이고 이치에 맞게 쓰는 방법이기도 하다. 조금 불편해도 말이란 자꾸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 또 하나, ‘평’은 우리말에 스며든, 뿌리 깊은 일본어투의 잔재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 땅을 측량하면서 사용하던 일본식 단위다. 하지만 일본도 1976년부터 ‘평’ 대신 ㎡를 사용해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