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이달부터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에 들어갔다. 이 같은 경제 정상화 과정에도 테이퍼링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Fed가 테이퍼링 시기를 늦춰 온 것도 돈 풀기를 중단하면 경기가 다시 침체될 우려가 있어서다.
![[생글기자 코너] '테이퍼링' 선언한 美 Fed…위드 코로나 시대에 미칠 영향은](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07204.1.jpg)
Fed는 지난해 초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제가 침체되자 시장에 막대한 규모의 돈을 풀었다. 시중에 돈이 흘러넘치게 해 경제를 살리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돈을 풀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경제가 회복된 상황에서 계속 돈을 풀면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Fed가 테이퍼링에 나서는 배경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고 시중에 돈을 풀면 경제가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금리가 낮아지고 돈이 풍부해진 만큼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고, 소비자도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등 돈 씀씀이를 늘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고 시중에 풀었던 돈을 거둬들이면 경제 활동도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금리가 오른 만큼 대출을 받아 투자나 소비를 하기가 부담스러워지기 때문이다. Fed가 테이퍼링 시기를 늦춰 온 것도 돈 풀기를 중단하면 경기가 다시 침체될 우려가 있어서다.
테이퍼링의 영향은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한국도 영향을 받는다. Fed가 돈을 거둬들이기 시작하면 전 세계적으로 달러 양이 줄어들면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오를 수 있다. 무역 비중이 큰 한국 경제는 환율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석유 등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고 해외여행 비용이 비싸지는 등 국민 개개인에게도 환율 변동의 여파가 미친다. 환율은 또한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이달부터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에 들어갔다. 이 같은 경제 정상화 과정에도 테이퍼링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일상 회복을 위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흐름이 국내에 미칠 영향에 잘 대비해야 한다.
박규림 생글기자(경북여상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