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기하학적 확률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건이 일어나는 표본공간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표본공간이 파악됐다면 그 안에서 해당 사건이 일어나는 영역을 확인해 해당 사건의 영역과 표본공간의 길이의 비 또는 넓이의 비를 구해 해당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면 된다.
그러나 주사위를 던지는 횟수를 60번, 600번, 6000번, …과 같이 늘려가면 그중에 1의 눈이 나오는 횟수는 수학적 확률인 1/6에 점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이런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나간다면 출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논리적인 추론에 의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생글이 통신] "생글·신문으로 공부…국내외 명문대 합격 비결"](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AA.10534137.3.jpg)
![[2022학년도 논술길잡이] 중앙대 2번 공통유형…반복적 기출풀이 필수](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603173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