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붕정만리 (鵬程萬里)
▶ 한자풀이
鵬 : 붕새 붕
程 : 법 정
萬 : 일만 만
里 : 마을 리


붕새는 단번에 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
앞길이 매우 멀고도 큼을 일컬음 -《장자(莊子)》

노자와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道家)는 무위자연(無爲自然) 네 글자로 압축된다. 순리를 인위적으로 거부하지 말고, 자연의 뜻을 거스르지 말라는 뜻이다. 장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 《장자》다. 장자는 풍자적이고 비유적인 이야기로 도가 사상의 본질을 짚어준다. 그런 점에서 장자는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장자》 첫머리에 ‘붕(鵬)’이라는 새 이야기가 나온다.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이 곤(鯤)이다. 곤의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곤이 변해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이 붕(鵬)이다. 붕 또한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한데, 이 새가 한번 힘을 써 날면 그 날개가 마치 하늘 전체를 뒤덮는 구름과 같고 바다를 뒤집을 만큼 큰바람이 인다. 붕은 그 바람을 타고 북쪽 바다 끝에서 남쪽 바다 끝까지 날아간다. 붕새가 남쪽 바다로 날아갈 때는 물결치는 것이 3000리다.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나 올라간 붕새는 6개월 동안 계속 난 다음에 비로소 날개를 쉰다.

붕정만리(鵬程萬里)는 ‘붕새가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를 올라간다’는 글에서 유래했다. 붕새가 단번에 1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 앞길이 매우 멀고도 큼을 일컫는다. 대자연의 웅대함이 형용할 수 없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붕정(鵬程)은 붕새가 나는 것과 같이 지극히 먼 거리를 뜻한다. 붕새가 9만 리를 날 듯, 보통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할 원대한 꿈이나 계획을 빗대어 붕정만리라는 표현을 쓴다. ‘참새가 어찌 대붕의 뜻을 알겠는가’라는 말도 《장자》에서 나왔다.

작가/시인
작가/시인
장자는 붕새를 빌려 세상 사람들의 상식을 뛰어넘어 무엇으로도 잡을 수 없는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나타내려고 한 듯하다. 그림자가 수천 리까지 드리워진 나무, 강에 띄우고 사람이 탈 만큼 큰 박도 마찬가지다. 선을 긋지 않고, 가두고 갇히지 않는 게 도가의 사상이다. 장자는 지혜가 얕고 상식에 갇힌 사람을 참새에 빗댄다. 참새는 자신의 공간이 세상 전부인 줄 알고 그곳을 벗어날 상상조차 못 한다. 그러나 대붕은 큰 뜻을 세우고 때를 기다린다. 그러니 참새가 대붕의 뜻을 어찌 알겠는가.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붕정만리 (鵬程萬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