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 공실률
상가·오피스빌딩 등 상업용 부동산서
임대되지 않고 비어있는 공간의 비율
경기 좋으면 떨어지고 불황기엔 올라
서울 핵심상권도 못피한 코로나 쇼크
공실률 오르고 권리금 사라져 '썰렁'
"위기 맞은 소상공인에 핀셋지원 필요"
상가·오피스빌딩 등 상업용 부동산서
임대되지 않고 비어있는 공간의 비율
경기 좋으면 떨어지고 불황기엔 올라
서울 핵심상권도 못피한 코로나 쇼크
공실률 오르고 권리금 사라져 '썰렁'
"위기 맞은 소상공인에 핀셋지원 필요"

외국인 관광객으로 발 디딜 틈 없던 명동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심각하게 무너진 상권이 됐다. 전국 최고 수준의 공실률이 이를 보여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1분기 명동 중대형 상가(3층 이상) 공실률은 38.4%로 전국 평균(13.0%)의 세 배에 달했다. 지난해 4분기엔 22.3%였는데 올 들어 더 높아졌다. 공실률은 경기 보여주는 바로미터경기가 얼어붙을 때 경제신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진 중 하나가 빌딩 곳곳에 ‘임대’ 현수막이 붙어 있는 모습이다. 이런 사진에는 ‘주요 상권 공실률이 급등했다’는 내용의 해설이 따라붙는다. 요즘 명동을 비롯한 서울 대형 상권 곳곳이 높아지는 공실률에 몸살을 앓고 있다. 코로나가 우리 경제에 남긴 아픈 상처들이다.
공실은 말 그대로 비어 있는 방 또는 집을 뜻한다. 공실률은 상가, 오피스 빌딩 등의 상업용 부동산에서 임대되지 않고 비어 있는 공간의 비율을 가리킨다. 공실률은 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 지표 중 하나로 꼽힌다. 경기가 좋을 때는 새로 창업하거나 사무실을 늘리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공실률이 하락한다.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폐업이나 사업 축소가 이어지면서 공실률이 상승한다. 관련 업계에서는 통상 공실률이 10%를 넘어가면 상황이 좋지 않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대표적 대학가 상권 중 하나인 신촌역 일대에서도 골목마다 두세 개꼴로 ‘임대’라고 적힌 건물을 볼 수 있다. 원격수업이 장기화하면서 음식점과 술집 매출이 반토막 난 영향이다. 강남역과 신논현역을 잇는 강남대로 역시 불황을 피해가지 못했다. 코로나 사태 전 이 지역에서 가게를 차리려면 1~2년간 ‘대기’를 해야 했지만 그런 풍경은 사라졌다.
코로나 4차 대유행이 현실화하면서 공실률 고공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과거 수억원에 달하던 권리금을 아예 안 받겠다고 해도 들어오겠다는 사람이 없어 수개월째 공실인 점포가 적지 않다. 권리금이란 상가에서 새로 장사하려는 사람이 고객, 시설, 영업 노하우 등을 넘겨받는 대가로 기존 임차인에게 지급하는 돈이다. 건물주에게 내는 임차료와 별개로 세입자끼리 주고받는 일종의 자릿세다. 장사가 잘되는 곳이어야 권리금이 붙는다. 상권 발달 더뎌 무더기 공실 나오기도건물주로서는 공실률이 높아지면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무상 임대 기간(렌트 프리)을 제공하거나 인테리어 공사비까지 지원하는 등 다양한 유인책을 내놓는 일이 많다.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올랐지만 상가 임대료는 과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 1분기 강남대로의 상가 임대료 변화를 보여주는 임대가격지수는 작년 4분기보다 0.02% 낮아지는 데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임대료가 내려가면 건물 시세도 떨어지기 때문에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쉽사리 인하하지 못하고 버티는 것”이라며 “폐업을 목전에 둔 소상공인을 위해 ‘핀셋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