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47) 기후변화와 저탄소 Life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공기가 나빠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올해 봄 한국에서는 몽골이나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뿌연 하늘을 많이 보고 있다. 미세먼지에 의해 나빠진 게 공기뿐일까? 기상청 관측 자료를 토대로 확인했을 때, 올해 3월 서울의 일별 평균 기온은 9.02도였다. 이에 비해 작년 3월 서울의 일별 평균 기온은 7.74도였다. 작년보다 올해 기온이 약 1.3도 높아진 것이다. 2019년 3월에는 7.1도로 더 낮았다. 이를 보건대 해가 지나갈수록 기온이 점점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이렇게 기온이 올라가고 공기가 나빠지는 것일까? 온실효과로 뜨거워지는 지구그 이유는 바로 온실효과 때문이다. 온실효과란 이산화탄소, 메탄 같은 온실가스 성분의 대기 중 농도가 올라감에 따라, 지표면을 뜨겁게 달구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온실가스가 대기와 멀지 않은 곳에 정체돼 보이지 않는 층을 만들어서 대기 바깥으로 공기가 나가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에 지표면이 뜨거워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온실가스 농도는 왜 높아지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산업혁명 이후 석탄과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주연료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화석연료가 탈 때 나오는 온실가스가 대기로 배출돼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온난화 현상을 초래했다. 이런 지구온난화가 세계적인 기후변화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다. 인류에게 큰 위협인 기후변화 늦춰야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폭염, 폭우, 산사태, 대기오염 등 재난재해를 발생시켜 인간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지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희귀 동물들의 서식지가 사라져 생물 다양성에 위협이 되고, 극지방의 빙하가 모두 녹아 인류가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예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국가가 1992년 5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채택해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각종 온실가스 방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이후 UNFCCC의 수정안인 교토의정서를 통해서 의무 이행 대상국은 2008~2012년까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적으로 5.2% 감축하기로 했다. 그러나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2001년 3월 협약에서 탈퇴했다.과학과 놀자 (47) 기후변화와 저탄소 Life
2015년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 파리협정 조약이 채택됐다. 주요 내용은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하로 유지하고,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는 195개국 만장일치로 채택되면서 2016년 11월 4일부터 국제법으로서 효력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인 조 바이든이 올해 1월 취임해 첫 업무로 파리 기후변화협약 복귀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미국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7위 국가로 2030년까지 예상배출량 대비 약 37%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계를 중심으로 저탄소 경제 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온실가스는 주로 탄소 원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저탄소화, 탄소 중립을 통해 저탄소 청정기술을 개발하고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 산업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탄소 중립을 위하여저탄소 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탄소 중립이 필수적이다. 탄소 중립이란 회사 또는 단체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방법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제로)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에서 온실가스 감축 관련 사업을 하거나 개도국들이 자체적인 감축 사업을 하면 유엔에서 이를 심사해 일정량의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데 이를 탄소배출권이라고 한다. 탄소배출량만큼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면 탄소 제로를 달성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탄소배출권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발전 없이는 화석연료를 주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모든 국가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녹색산업을 통한 일자리 및 시장 창출을 도모하는 그린 뉴딜 정책을 도입하게 됐다. 그린 뉴딜은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25년까지 30조1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를 38만7000개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핵심 목표를 도시·공간·생활·인프라 녹색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정했다.
탄소 중립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기후변화 현상을 둔화하기 위해서 개개인은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환경부에서는 일회용품과 플라스틱을 줄이는 SNS 캠페인 ‘고고챌린지’를 시작했다. 생활 속의 탈(脫)플라스틱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일 한 가지와 할 수 있는 한 가지 행동을 약속하는 ‘고고릴레이’가 주요 내용이다. 환경부 장관 및 국회의원 다수가 캠페인을 실천하고 있다. 국가나 기업이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과 더불어 개개인 또한 탈플라스틱화를 통해 세계의 기후변화를 둔화시키고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호주의 국가(國歌)에는 다음과 같은 가사가 있다. “Our home is girt by sea; Our land abounds in Nature’s gifts; Of beauty rich and rare; In history’s page, let every stage; Advance Australia fair!” 해석해보면 ‘바다에 둘러싸여 있으며 아름답고 비옥하고 진귀한 자연의 선물로 가득한 우리의 땅이여, 역사의 한 장, 모든 무대에서, 전진하라, 아름다운 오스트레일리아여!’이다. 이 가사를 보았을 때, 자연을 아끼고 지구를 보듬어 아름다운 우리의 강산을 우리의 다음 세대가 편안하게 누리고 살 수 있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 기억해주세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폭염, 폭우, 산사태, 대기오염 등 재난재해를 발생시켜 인간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국가가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각종 온실가스 방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개개인은 탄소 중립을 위해 일회용품과 플라스틱을 줄이는 생활 속의 탈(脫)플라스틱화를 실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