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욜로'는 '요리로'의 준말이다. 마찬가지로 '그리로→글로,
조리로→졸로, 저리로→절로, 이리로→일로, 고리로→골로'로
줄어든다. 한글맞춤법 제33항에 나오는 용법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욜로’는 외래어다. Yolo, 즉 ‘You only live once’의 앞글자를 딴 용어다. ‘인생은 한 번뿐이다’라는 뜻의 말로, 현재의 행복을 중요하게 여기는 생활 방식을 말한다. 2013년께부터 한국 언론에 소개되기 시작해 2017년을 전후해 우리 사회의 여러 소비문화 현상 가운데 하나를 가리키는 말로 자리잡았다. ‘요리로’가 줄어 ‘욜로’로 바뀐 순우리말‘욜로’는 우리 고유어이기도 하다. “욜로 가면 지름길이 나온다”라고 할 때 쓰는 말이다. 이 말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겐 우리말에 있는 ‘글로, 졸로, 절로, 일로, 골로’ 같은 말도 낯설게 보일 것이다. 요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욜로족’이니 ‘욜로 라이프’니 하는 외국말은 잘 알아도 우리 고유어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욜로’는 ‘요리로’의 준말이다. 마찬가지로 ‘그리로→글로, 조리로→졸로, 저리로→절로, 이리로→일로, 고리로→골로’로 줄어든다. 한글맞춤법 제33항에 나오는 용법이다.

우리말은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말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무엇을’이 줄어 ‘뭣을’ 또는 ‘무얼’이 된다. 이 말은 다시 ‘뭘’까지로 준다. ‘그것은, 그것으로’가 줄면 ‘그건, 그걸로’가 되는 식이다. 말에도 ‘언어의 경제성’이 작용한 결과다. 준말이 효율성이 높아 구어에서는 자연스럽게 준말을 더 많이 쓰게 된다. 이는 부사에 조사가 어울릴 때도 마찬가지다. ‘욜로, 글로,…’ 등의 준말이 성립하는 문법적 근거다. 글쓰기에선 본말 쓰는 게 의미전달 잘 돼하지만 언제나 준말이 선택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글쓰기에서는 준말보다 본말을 쓰는 게 더 좋을 때가 있다. 다음 사례가 그런 경우다.

“머지않아 다가올 수소경제란 신산업 분야에서 퍼스트무버(개척자)가 돼 수소사회를 선도해 나가자.” 이 문장에서 ‘수소경제란’에 쓰인 ‘-란’이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보조사로서, 또 하나는 준말로서의 역할이다.

우선 누군가 ‘수소경제란’을 주어로, 즉 ‘수소경제라고 하는 것은’의 뜻으로 읽었다면, 곧 “이게 아닌데” 할 것이다. 보조사로서의 ‘-란’은 앞말에 주어의 기능을 부여하는데, 그렇게 읽으면 비문이 되기 때문이다. 이 문장에서 ‘-란’은 준말로 쓰였다. ‘~라고 하는’이 줄어 ‘-라는’이 됐고, 이게 다시 ‘-란’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뒤에 오는 말을 꾸미는 관형어 역할을 하게 해준다. 그래서 ‘-란’이 준말로 쓰였을 때는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본말 ‘-라는’을 쓰는 게 좋다.

이제 응용을 해보자. 글쓰기에서 준말 표기와 관련해 부딪히는 고민 가운데 하나다. 예컨대 “이 사과는 맛이 좋다”를 줄여 ‘이 사관~’이라고 쓸 수 있을까? “내 친구는 부산에서 초등학굘 졸업했다”라고 할 때 ‘초등학굘’은 가능한 표기일까? 눈으로 보기엔 매우 어색하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하지만 주어와 목적어로 쓰인 준말 ‘사관’ ‘초등학굘’은 문법적으로 허용되는 표기다. 한글맞춤법 제33항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가 그 근거다. 다만 ‘나는→난, 너를→널, 그것이→그게, 무엇을→무얼’ 등 대명사에 붙는 조사가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것과 달리 일반 명사와의 결합에서는 시각적으로 낯선 감이 있다. 따라서 이런 때도 본말을 쓰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