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4차 산업혁명과 플랫폼 금융

아마존의 ‘원클릭’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원클릭은 클릭 한 번으로 결제와 발송이 완료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매번 결제정보와 배송지를 입력하는 수고를 기울이지 않고 거래할 수 있다. 무인 편의점 ‘아마존 고’ 역시 원클릭 서비스의 오프라인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원클릭 정신은 플랫폼 기업들의 ‘페이 서비스’로 이어진다. 페이 서비스는 본사 홈페이지 이외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도 자사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등록된 정보를 이용해 구입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다. ‘아마존 페이’ ‘네이버 페이’ 등이 대표적이다. 아마존과 네이버 사이트가 아니더라도 아마존과 네이버 계정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네이버나 카카오,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다. ‘스마트 스피커’와 ‘아마존 대시 버튼’ 모두 같은 맥락이다. 주방에서 그저 ‘우유 한 통만 주문해줘’라고 말하면 혹은 인터넷과 연결돼 있는 아마존 대시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미리 설정해둔 상품의 주문과 결제가 원스톱으로 이뤄진다.
‘캐시 서비스’는 플랫폼 기업이 제공하는 ‘예금’ 기능이다. 예금은 은행의 3대 업무 가운데 가장 본질적인 기능이다. 플랫폼 기업은 기프트 카드나 캐시 형태로 유사 예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마존 기프트 카드는 아마존 내에서 쇼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원하는 금액을 미리 충전해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할 때마다 포인트가 지급된다. 은행이 예금에 제공하는 이자를 포인트가 대신하는 셈이다. 캐시 서비스는 은행의 예금 기능과 좀 더 비슷하다. ‘캐시’란 아마존 계좌에 미리 입금해둔 현금을 의미한다. 미리 입금해두면 계정을 만들고 계좌나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미국 연방예금공사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3350만 가구가 은행 계좌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캐시 서비스 이전에 이들은 아마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없었지만 캐시 서비스로 인해 아마존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일부 플랫폼 기업은 대출 서비스도 제공한다. ‘아마존 렌딩’이 대표적이다. 아마존 플랫폼을 활용하는 판매 사업자들에게 단기 운영 자금을 융통해준다.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5일 안에 대출이 완료돼 적시에 자금 조달이 가능하며, 사업자의 매출이 자동으로 상환금으로 전환돼 상환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플랫폼 고유의 힘 키우려는 수단으로 금융 활용플랫폼 기업들이 결제 기능을 진화(원클릭)시키고, 대출업무(아마존 렌딩)를 하며, 실질적인 예금 기능(기프트 카드·캐시)을 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금융사업 자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함이 아니다. 결제 서비스가 전자상거래 본연의 기능을 높이려는 고민에서 시작됐듯이 플랫폼 고유의 힘을 더욱 키우려는 수단으로 금융을 사용할 뿐이다.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의 경우 상품 구성을 늘리면 고객 만족도가 높아진다. 만족도가 높아지면 사람이 모인다. 그렇게 되면 아마존에 물건을 팔고 싶어하는 판매자도 많아진다. 수요자와 공급자의 만족이 높아질수록 아마존은 성장한다. 아마존의 금융 서비스는 이 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수단이다.

기하급수적으로 성장 가속화
사회 전체 효용성도 고민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