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2)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과학 탐구 실험
과학자가 하는 일의 핵심은 자연을 탐구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일이다. 학생들이 푸는 문제지의 문제는 답지에 정답과 풀이가 있지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만드는 일에는 참고할 정답과 풀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의 옳고 그름은 정답을 참고해 판단할 수 없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타당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판단하게 된다.과학과 놀자 (2)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과학 탐구 실험
과학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분석하면 다음 네 가지로 나타난다. 해결할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critical thinking),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 창의적인 시도를 하고(creativity), 구체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관련 전문가와 소통하고(communication), 협업하여(collaboration) 문제를 해결한다. 교육학자들은 이 네 가지 역량을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맥락의 문제(authentic problem)를 해결하는 탐구 활동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문제를 정의하고 가설을 세워보자

문제: 주황색으로 관찰된 불꽃색은 나트륨 원소의 불꽃색이 아닌가?
많은 경우 학생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나트륨의 불꽃색은 노란색’이라는 내용을 근거로 주황색 불꽃색이 나트륨 원소의 불꽃색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 원인을 물었을 때 불순물의 영향일 것으로 해석했다. 그런데 이 해석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물었을 때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에 주황색 불꽃색이 불순물의 영향인지 실험으로 증명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학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간이 분광기를 사용해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된다. 주황색 불꽃색을 나타내는 물질이 불순물에 의한 것이라면 나트륨 노란색 불꽃색의 스펙트럼 패턴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를 가설로 정하고 탐구를 수행했다.
가설: 주황색 불꽃색을 나타내는 물질이 불순물에 의한 것이라면 나트륨 노란색 불꽃색의 스펙트럼 패턴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창의적 대안으로 가설을 검증해보자


과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해석을 이용해 위에 제시된 가설을 확인하라고 요구했다. 학생들은 주황색 불꽃색도 노란색 불꽃색과 동일한 위치에 선스펙트럼이 나타난다는 것을 근거로 가설이 틀림을 증명했다. 즉, 불꽃색 실험에서 관찰된 주황색도 나트륨에 의한 불꽃색이고, 색이 노란색과 다르게 관찰되는 이유는 빛의 세기 때문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 탐구 실험과정에서 학생들은 답이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관찰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학적 사고를 했고, 이를 근거로 문제 상황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 탐구 실험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과학자처럼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 키워진다.
√ 기억해주세요
과학자가 하는 일의 핵심은 자연을 탐구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일이다. 학생들이 푸는 문제지의 문제는 답지에 정답과 풀이가 있지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만드는 일에는 참고할 정답과 풀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의 옳고 그름은 정답을 참고해 판단할 수 없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타당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판단하게 된다.
정대홍 < 서울대 화학교육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