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은 만드는 것보다 '빚는' 게 더 정감 있다.
관계는 원래 '맺다'와 어울리던 말이다.
그늘은 '생기는' 것이고, 해법이 '나왔다'고 하는 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이다.
“언어를 다듬는 데는 조화롭고 아름다우며 정결하고 정미하게 하고자 할 따름입니다. … 형태가 다양해 한 가지로 개괄할 수 없고, 내용이 명료해 여러 가지로 나눠지지 않으며, 형태와 내용이 적절하게 알맞아야 합니다.”(이건창, ‘조선의 마지막 문장’) 조선 후기 3대 문장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이건창(1852~1898)이 말하는 작문 비법 한토막이다. 학자이자 문신인 여규형이 작문에 대한 가르침을 달라고 청하자 편지로 답하는 형식을 빌려 썼다.관계는 원래 '맺다'와 어울리던 말이다.
그늘은 '생기는' 것이고, 해법이 '나왔다'고 하는 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이다.
10여 가지로 쓰는 ‘만들다’, 의미 모호해
그의 문장론은 요즘의 글쓰기에 적용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뛰어나다. 지금의 눈으로 해석하면 단어 하나를 고르는 데도 심혈을 기울이고, 다양한 ‘말’을 쓰되 ‘뜻’이 명료해야 한다는 게 요지다. 그런 관점에서 최근 우리 문장을 병들게 하는 표현들을 살펴보자. 언제부터인지 이런 말들이 시나브로 널리 퍼졌다.
△어린이들이 ‘한가위 음식 만들기’ 체험행사에서 송편을 만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나팔꽃이 자라면서 창문에는 그늘이 만들어져 시원했다. △시민도 정부도 행복한 지속가능한 해법을 만들었다. △실내에서 운동을 하도록 체육관을 만든다.
예문에는 서술어로 모두 ‘만들다’가 쓰였다. 이 말이 왜 문제가 될까? <표준국어대사전>(1999년)은 올림말 ‘만들다’에 13개의 풀이를 올렸다. 뜻풀이 첫 항목은 ‘노력이나 기술 따위를 들여 목적하는 사물을 이루다’이다. ‘음식을 만들다/오랜 공사 끝에 터널을 만들었다/이순신이 거북선을 만들었다’ 같은 게 전형적 쓰임새다.
한글학회에서 1957년 완간한 <조선말 큰사전>만 해도 ‘만들다’의 풀이는 ‘기술이나 힘을 들여 목적하는 일이나 물건을 이루다’ 하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첫째 풀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만들다’는 애초 이런 뜻으로 쓰던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글학회 역시 1991년 수정 증보해 펴낸 <우리말 큰사전>에서는 그 풀이를 10개로 늘렸다. 단어 풀이의 변천은 시간이 흐르면서 의미 영역이 확대된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다.
다양한 우리말 표현 살려 써야
하지만 그 세력을 방치하다 보니 어느새 ‘만들다’가 본래 있던 서술어를 모두 먹어치운 격이 됐다. 송편은 만드는 것보다 ‘빚는’ 게 더 정감 있다. 관계는 원래 ‘맺다’와 어울리던 말이다. 그늘은 ‘생기는’ 것이고, 해법이 ‘나왔다’고 하는 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이다. 체육관을 굳이 만든다고 하지 말고 ‘세운다’고 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현실의 글쓰기에선 온갖 데에 ‘만들다’ 하나를 쓴다. 이건창의 가르침에 아랑곳없이 말이 조화롭지도 않고 정교하지도 않다. 획일화와 단순화가 있을 뿐이다.
글쓰기는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쓰는 게 요체다. 우리말에서 쓰던 원래의 말, 그것을 찾아 쓰는 게 가장 좋다. ‘만들다’가 지배하는 요즘의 서술어 체계는 우리말 표현을 위축시킨다. 그런 사례는 너무나 흔하다. ‘자금을 만들다(→모으다), 매출 100억 원대 회사로 만들었다(→키웠다), 원칙을 만들었다(→세웠다), 시스템을 만들다(→갖추다), 시간을 만들다(→내다), 예외를 만들다(→두다), 종합대책을 만들(→마련할) 예정,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좋은 일터를 만들다(→가꾸다), 추억을 만들다(→쌓다), 차별화를 만들다(→이루다).’ 무심코 쓰던 ‘만들다’ 대신 괄호 안의 말을 써보자. 서술어가 다양해지면서 말의 느낌이 살아날 것이다.
hymt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