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스무 마리 동물 속에 인간의 모습이 담겨 있다

    《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는 매우 독특한 소설이다. 모두 스무 종류의 동물이 등장하는 짧은 소설 모음인데, 주인공 이름은 동일하게 ‘비스코비츠’다. 잘생겼거나 용감한 수컷 비스코비츠가 좋아하는 상대의 이름은 리우바, ‘꿈결처럼 아름답고, 하품처럼 달콤하고, 베개처럼 부드러워’ 매우 매혹적이다. 그리고 친구 페트로빅, 주코빅, 로페즈가 수시로 등장해 다양한 상황을 만든다. 돼지, 사자, 앵무새 같이...

  • 숫자로 읽는 세상

    카카오 前 CEO, 300억대 스톡옵션 '잭팟'

    “성과 있는 곳에 보상 있다.” 올 상반기 SK 계열사 경영진이 업계 최고 수준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인텔 낸드플래시사업부 인수에 성공하면서 최고경영진에 30억~40억원대 성과급을 지급한 영향이다. 카카오 전 대표(CEO)들은 주식매수권(스톡옵션)을 행사해 300억원 넘는 보수를 챙겼다. SK하이닉스 성과 커 지난 16일 국내 상장사들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46)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문학작품의 의미 도출, 논리적 비판, 대안 제시해야

    오늘은 중앙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앙대 논술은 경영경제계열의 경우 수리논술을 포함해 문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인문계열은 수리논술을 출제하지 않습니다. 수리논술의 출제 난도가 높은 편은 아니며, 기본적인 수학적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양질의 문제를 출제합니다. 제시문의 전체 분량이 논술고사를 치르는 대학 중 가장 많은 편이기에 분석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만, 다른 학교에 비해 고사 시간도 긴 편이고 정작 답안 작성 분량은 많지...

  • 테샛 공부합시다

    민족사관고 1학년 조민아, 고교 부문 1위

    테샛관리위원회는 75회 테샛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대학생 대상 윤현준, 일반인 최우수상 오주영 씨 전체 수석 테샛 75회 고교 개인 1등은 민족사관고 1학년에 재학 중인 조민아 학생이 차지했다. 이소민(삼일상업고 3년) 김민욱(청라달튼외국인학교 11년) 이선규(호원고 2년) 학생은 장려상을 받았다. 대학생 개인 부문 대상은 윤현준 씨가 수상했다. 2등 최우수상은 김태현 씨(서강대 2년...

  • 대학 생글이 통신

    고3, 8월엔 자소서 완성하고 규칙적 습관 들이세요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정시를 준비하는 고3 학생들이 8월을 어떻게 마무리하면 좋을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 8월 중 대입 자기소개서를 미리 다 작성해놓을 것을 추천합니다. 9월부터는 9월 평가원 준비, 수시 원서 접수로 쉴 틈 없이 바빠집니다. 자기소개서는 여러 번의 검토 과정을 거친 뒤에 완성되는데요. 꼼꼼하게 봐야 하는 만큼 여름방학 때 미리 완벽하게 완성할 것을 추천합니다. 두 번째, 자신이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입니...

  • 대입 전략

    정시 합격선, 서울권 서울대·연세대·한양대 순서…지방권은 1위 순천향대, 2위 부산대, 3위 경북대

    올해부터 간호학과 지역인재 30%로 확대…지방권 학생이라면 전략적으로 노려볼 만 간호학과는 최근 여학생뿐 아니라 남학생에게도 인기학과로 발돋움했다. 졸업 후 취업이 수월하고 일자리 유지 등 안정성 측면에서 전문 직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보건의료산업의 전망도 밝은 편이다. 간호학과는 전국 113개 대학에 폭넓게 개설돼 있다. 2022학년도 전국 간호학과 입시 결과를 분석해본다. 정시 합격선(국수탐 평균, 70%컷), 서울권 84....

  • 과학과 놀자

    아삭한 채소를 개발한 한국 대표 농학자 우장춘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12)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김치는 배추와 무 등 신선한 채소가 있어야 제맛을 낼 수 있다.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배추와 무의 식감이 김치 맛을 더해 준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배추와 무가 원래부터 그렇게 아삭아삭했던 것은 아니다. 그런 배추와 무를 개발해 보급한 사람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학자 우장춘(1898~1959)이다. 우장춘 이전에 과학자들은 생물 종의 탄생을 진화론으로 설명했다. 19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