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페이고 원칙

    [문제] 아래에 나타난 ‘이 제도’는 무엇인가? 이 제도는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는 법안을 낼 때 재원 확보 방안도 함께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① 슈퍼 301조 ② 지출상한선 ③ 페이고 원칙 ④ 부분적립방식 ⑤ 경상수지 균형 준칙 [해설] 페이고 원칙은 ‘pay as you go(지출을 수입 안에 억제하다)’의 줄임말로, 정부가 지출계획을 짤 때 재원 확보안까지 마련하도록 한 원칙이다. 재...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임진왜란 참사 후에도 반성·개혁없이 당파싸움만…외교·군사적 대비도 없이 청과 대립하다 굴욕

    명나라에서는 1627년 산시지역을 시작으로 대규모 농민 봉기가 일어나 확산했다. 병자호란 전후 명나라 중심부는 대부분 농민군에 의해 장악되고 정부는 통제 능력을 상실했다. 1636년에 2대 황타이지(皇太極)’는 ‘대청’을 선포하고, 천자를 칭하면서 중국 통일을 목표로 명나라를 외곽 포위해 동서남북으로 팽창했다. 청나라의 배후지라는 지정학적 위치, 적극적인 친명(向明) 세력으로의 변신은 조선을 필수적 공격 대상으로...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인문논술의 독특한 유형과 정체성 이해해야

    동국대는 수능 직후 일요일에 시험을 치릅니다. 먼저 요건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일반계열 대부분의 학과가 최저자격 2합4의 요건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경찰행정학과와 AI융합학부는 별도의 최저자격을 마련해두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교과 반영률은 낮은 편입니다. 총점 100 중에 논술 70과 함께 교과 20, 출결 10을 반영하는데, 교과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중 상위 10과목만 반영하기 때문에 종합 교과성적이 다소 ...

  • 경제 기타

    코픽스금리에 은행별 가산금리 더해서 정해요

    은행권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18일부터 최대 0.44%포인트 오른다.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1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면서다. 연 7% 턱밑까지 오른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이 올해 안에 연 8%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저금리 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내집마련에 나선 서민은 물론 전세대출을 많이 받은 20~30대의 ...

  • 생글기자

    학생과 교사가 참여하는 실질적 학생자치 방안

    학생 자치란 무엇인가. 교육청은 ‘학생이 주체가 돼 교내외 관련 조직을 통해 학생과 관련한 학교 생활을 스스로의 의사와 책임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학생 관점에서 본 학생 자치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정작 현실에서 학생 자치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때가 많다. 인천교육청 조사에 따르면 학생 자치기구의 의견이 학교 운영에 반영된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46%에 그쳤다. 반면 교사는 70%...

  • 과학과 놀자

    세상의 근원, 더이상 쪼갤 수 없는 작은 알갱이 '원소'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선생님들의 과학 이야기 (8) 지금 여러분이 보고 있는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 액정을 잘게 부수면 어떻게 될까요? 부서진 액정을 더 잘게 가루로 만들면 무엇이 남을까요? 상상하기 어렵지만 궁금하지 않나요? 마지막에 남는 아주 작은 알갱이가 스마트폰 액정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겠죠. 물질을 이루는 근원적인 요소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선 물, 불, 흙, 공기가 세상의 ...

  • 생각하는 로봇, 로봇의 진화

    773호 생글생글은 ‘로봇 진화’를 ‘인류 진화’에 비유해 커버스토리로 썼다. 인류의 조상이 유인원에서 갈라져 이족보행을 했듯이 로봇도 비슷한 경로를 밟고 있다고 로봇 공학자들은 분석한다. 원시 형태의 로봇은 이제 생각하는 로봇으로 진화했다. 100년 뒤, 500년 뒤 로봇은 어떤 모습일까. 로봇이 인류에게 던지는 문제는 없을까. 17면 대입 전략은 서울대의 수학 반영 비율 등을 분석했다.

  • 루카스 비판

    [문제1] 루카스 비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계량모형을 사용할 때 경제주체의 기대 형성에 대한 가설을 포함하는 구조모형을 사용해야 한다. (2) 정책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할 때는 새로운 정책에 따라 사람들의 기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3) 정책이 바뀌면 경제활동에 관한 규칙이 바뀌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기대도 바뀌기 때문에 기존에 성립된 경제 변수 간의 관계도 바뀐다.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