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험생도 적절히 쉬고 명상해야 학습효과 높아

    대부분의 시간을 수능 공부에 할애하는 수험생은 포기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시간을 주로 공부하는 데 쓴다고 해서 취미생활을 아예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부하는 절대적 시간이 많아야 하는 것은 맞지만 모든 시간을 수능에 대한 생각으로 채우는 건 좋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절히 쉬면서 공부 이외의 것으로 주의를 환기해야 학습 능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개념을 다 배우고 문제풀이로 실력을 다지는 단계에서 같은 내용을 계속 반복하면 질릴...

  • 숫자로 읽는 세상

    "기업 승계, 부의 대물림 아닌 스케일업 발판"

    “승계 완료 기업의 경영 성과를 비승계 기업과 비교한 결과, 종업원 증가가 뚜렷해지는 등 기업가정신이 회복되는 모습이 확연했습니다.”(박성민 IBK기업은행경제연구소 팀장) 18일 중소기업중앙회와 기업은행, 홈앤쇼핑이 공동 주관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해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2 장수기업 희망포럼’에서는 기업 승계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구체적 연구 결과가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기업 승계를 &ls...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약물 중독' 뇌 과학자의 당부, 절대 선 넘지 말라

    요즘 마약 관련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우리나라는 이미 2016년 유엔이 정한 마약청정국 지위를 잃어버렸다. 검찰에서 ‘마약범죄 특별수사팀’을 설치해 강력하게 대처한다니 우리나라가 다시 마약청정국이 되길 소망한다. <중독에 빠진 뇌 과학자>의 저자 주디스 그리셀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행동신경과학자이자 미국 벅넬대 심리학과 교수다. <중독에 빠진 뇌 과학자>는 취재하거나 통계를 모아 쓴 게 아니라 20년...

  • 대학 생글이 통신

    독해·사고·논리·유추력 말로 표현할 줄 알아야

    논술과 일반 면접을 비롯한 시험은 빠르고 정확한 문제 풀이를 요구하는 반면 제시문 면접은 독해력과 사고력, 논리력, 유추력을 요구합니다. 국어 비문학 문제를 서술형으로 답하는 것과 같습니다. 독해력은 주어진 지문을 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시험에서는 다른 내용의 제시문이 여러 개 주어지기 때문에 모든 지문을 정확히 이해하고 풀기 어렵습니다. 만약 자기가 아는 내용이 제시문으로 주어지면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기 때문에 과학 선행 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대상의 긍정 또는 부정은 관점에 따른다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예술은 사회적인 것인 동시에 사회에서 떨어져 사회의 본질을 직시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의 미학은 기존의 예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한다. 가령 사과를 표현한 세잔의 작품을 아도르노의 미학으로 읽어 낸다면, 이 그림은 사회의 본질과 유리된 ‘아름다운 가상’을 표현한 것에 불과할 것이다. 하지만 세잔의 작품...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위상 드높인 'K방산'…폴란드 수출 K2 전차 출고식

    현대로템은 19일 창원 공장에서 폴란드로 수출하는 K2 전차의 첫 출고를 기념하는 ‘K2 전차 폴란드 갭필러 출고식’을 열었다. 최근 차세대 전차 도입 계획을 발표한 폴란드는 노후한 구형 전차를 신속히 대체하기 위해 한국에서 생산되는 K2 전차 180대를 우선 인도받기로 했다. 이날 초도 출고되는 K2 전차는 총 10대다. 나머지 물량은 2025년까지 폴란드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폴란드 현지에 도착한 K2 전차는 ...

  • 생글이와 국제기구 투어

    주니어 생글생글은 10월 24일 유엔의 날을 맞아 이번주 커버스토리에서 국제기구에 대해 다뤘습니다. 주인공인 생글이가 꿈속에서 여러 국제기구를 돌아보며 각 기구의 역할을 알아봅니다. 국제기구의 활동을 우리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며 세계를 향한 꿈을 키우도록 했습니다. ‘우리 동네에 놀러오세요’를 주제로 지역 명소를 소개한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단의 글도 실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

  • 영어 이야기

    노력으로 성과를 얻을 때 표현은 carve out

    Artificial intelligence(AI)-driven translation has been dominated by big tech. Alphabet Inc.’s Google LLC is the global leader while Naver Corp. is the dominant player in South Korea based on Naver Papago, a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c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