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른바'를 쓰면, 문장의 객관성 높아지죠

    가) 북한의 열병식은 건군절(2월 8일)과 이른바 전승절(한국전쟁 정전협정기념일·7월 27일)에 이어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다. 나) 북한의 올해 열병식 개최는 지난 2월 8일 75주년 건군절(조선인민군 창건일) 기념 열병식과 7월 27일 73주년 전승절(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일) 기념 열병식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 9일 북한이 정권 수립(9·9절) 75주년을 맞아 열병식을 개최했다는 소식이 우리 언론을 통...

  • 대입 전략

    SKY 국·수·탐 원점수 평균, 인문 272.6·자연 262.4점…주요 10개대 합격선, 인문 268~208·자연 261~224점

    수시 원서 접수가 마무리됐다. 이제 수능 마무리 학습에 집중할 때다. 수능 학습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수시 면접, 논술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시는 대학마다 수능 반영 방법이 달라 남은 기간 수능 학습에서 집중해야 할 포인트도 다를 수 있다. 정시 지원 전략의 기초적인 밑그림은 필요하다. 지난 9월 모의평가 가채점 원점수 기준 주요 21개대 및 의약학 계열의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 종로학원 분석 결과, 2024학년도 ...

  • 키워드 시사경제

    "조용히 살고 싶어요, 관광 그만 와주세요"

    이탈리아 피렌체는 지난 6월 역사지구 내 신규 단기 주택 임대를 금지했다. 쉽게 말해 가정집을 에어비앤비 숙소로 용도 변경할 수 없게 한 것이다. 피렌체는 해마다 평균 1500만 명이 찾는 세계적 관광도시다.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 관광객이 과잉 유입되다 보니 시민들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집주인들이 수입이 짭짤한 에어비앤비 임대로 몰리면서 정작 현지 주민의 보금자리가 부족해진 문제가 대표적이다. 피렌체에서 월세를 살려면 급여의 7...

  • 생글기자

    돈벌 궁리만 하는 지역 축제, 오래 못 간다

    지난달 9일부터 18일까지 ‘대전 0시 축제’가 열렸다. 추억의 대중가요 ‘대전 부르스’를 모티브로 한 이번 축제엔 약 120만 명의 관람객이 몰렸다. 대전엑스포 이래 단일 행사로는 최다 방문객 숫자다. ‘잠들지 않는 대전, 꺼지지 않는 재미’라는 축제 표어처럼 시민들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즐길 수 있었다. 시간여행을 테마로 한 과거와 현재, 미래 존(zone)이 특히 인기를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내수 진작용' 6일짜리 추석 연휴, 효과 낼까

    2023년 추석 연휴는 총 6일이다. 정부가 휴일 사이에 끼인 10월 2일(월)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이런 조치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명분은 내수 진작과 국민 휴식권 확대다. 휴일이 늘어나면 많은 직장인은 좋아한다. 정부가 정하는 공휴일은 유급 휴일, 일하지 않아도 급여는 그대로다. 반면 기업 경영 입장이나 직원을 쓰는 사업주 처지에선 달갑지 않을 수 있다. 정부가 임금을 주는 것도 아니면서 생색만 내는 셈이니 말이다...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일에 맞춰 생활패턴 바꿀 때죠

    이제 9월 평가원 모의고사도 끝났고, 많은 고3 수험생이 적지 않은 불안감을 느낄 때입니다. ‘9월 평가원 성적이 잘 나오지 않으면 어떡하지’ ‘여름방학 동안 난 무엇을 한 건지…’ 등의 생각으로 불안감이 높아지죠. 이른바 ‘멘탈 관리’가 그만큼 중요해집니다. 수능이 코앞으로 다가온 이때, 저는 어떻게 멘탈 관리를 했는지 여러분께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저는 평...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필요한 논리적 근거는?

    A>B이고 B>C이면 A>C임은 자명하다. 이처럼 크기를 비교하는 부등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논리적 근거가 필요하다. 수리논술에서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가 비교적 자주 출제되는데, 이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근삿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비교하는 방식과 함수의 증감 및 그래프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아래 예시 논제를 통해 각각의 경우에 사용하는 논리적 근거와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연습해보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晏御揚揚 (안어양양)

    ▶한자풀이 晏: 늦을 안 御: 어거할 어 揚: 오를 양 揚: 오를 양 안영의 마부가 날아오를 듯하다는 뜻으로 스스로 만족해 기세가 드높은 모양새 - <사기> 안영(晏)은 춘추시대 제(齊)나라 재상으로 3대 군주를 섬기면서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하루는 안영이 수레를 타고 외출했는데, 수레 모는 마부의 아내가 문틈으로 남편이 어떤 모습으로 일하는지 엿보았다. 마부는 머리 위에 펼친 큰 우산 아래서 채찍질을 하며 말 네 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