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커버스토리
의대 진학 열풍 어떻게 봐야 할까요
의대 열풍이 뜨겁습니다. 독자 여러분 중에도 의대 진학을 꿈꾸는 사람이 많을 테죠. 의대의 인기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높아졌습니다. 갑작스러운 경제 충격으로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고 힘든 시기를 보내야 했습니다. 자연스레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의 인기가 높아졌죠. 이후 한때 공무원과 교사가 인기 직종으로 부상했고, 바이오(생명공학)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도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그 사이 의대 열풍은 되레 더 뜨거워지고 ...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배 안전하게 이끈 뒤 '엄지척' 받을 때 가장 기쁘죠"
‘해기사(海技士)의 꽃’으로 불리는 도선사(導船士)는 배를 타는 모든 이의 꿈이자 로망이다. 그만큼 도선사가 되는 길은 쉽지 않다. 3등 항해사부터 선장까지 15년 이상 바다 경험, 승선 경력을 쌓아야 시험 치를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응시 자격 요건도 과거에 비해 많이 완화된 것이다. 이 영향으로 도선사 합격 연령대도 10년 전 50대 중반에서 지금은 40대 중반으로 많이 낮아졌다. 도선사에 대한 젊은이들의 ...
-
테샛 공부합시다
환경쿠즈네츠곡선·골디락스 등 난도 높아
테샛관리위원회는 지난 8월 시행한 테샛 82회·주니어 테샛 35회 성적 평가 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환율제도 관련 문제 까다로워 이번 시험은 경제이론의 난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이론에서는 환율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항의 정답률이 40%대로 낮았다. ‘고정환율제도에서는 국제수지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조정된다’가 정답이다. ...
-
과학과 놀자
분해과정서 메탄올 발생…양 적어 인체에 무해
'설탕 제로' '칼로리 제로'. 당 줄이고, 칼로리 낮춘 '제로 슈가' 인기가 몇 년간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한동안 뜨겁던 제로 슈가 열풍에 제동이 걸렸다. 제로 슈가 식품에 함유된 물질인 '아스파탐'의 발암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5월 15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체중 조절 목적으로 제로 슈거 식품을 섭취하지 말라는 권고안을 발표했다. 이어 7월 16일에는 WHO 산하기관인 국...
-
똑똑하게 소비하기
제80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슬기로운 소비 생활입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어릴 때 형성된 소비 습관은 평생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일러스트로 보여주면서 희소성, 기회비용, 매몰비용 등의 개념과 합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세계적인 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배스킨라빈스를 창업한 어바인 라빈스와 버턴 배스킨 두 창업자를 소개했습...
-
경제 기타
친환경시대 대표하는 에너지 전략기술이죠
수능에서는 신기술과 관련한 지문이 종종 나옵니다. 2차전지와 관련한 지문은 그동안 나오지 않았지만, 기술적 중요성 등을 고려하면 출제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술 자체에 대한 과학 비문학 지문이나 국어 토론 지문, 영어 지문 등으로 출제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공부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극서 양극으로 전자 이동시켜 2차전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1차전지인 건전지를 떠올려봅시다. 건전지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있는 것은 다들...
-
생글기자
매크로 프로그램 이용한 대량 암표, 막을 수 없나
인기 콘서트 입장권 가격이 턱없이 높게 거래되는 ‘프리미엄표’ 문제가 심각하다. 이는 대부분 불법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 대량으로 얻은 표인데, 암표 시장에서 가격이 정가의 4배도 넘게 올라간다. 중고·티켓 거래 사이트, 트위터 등을 조금만 검색해도 말도 아니게 비싼 값이 붙은 표들을 확인할 수 있다. 암표 거래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21년 785건이던 온라인 암표 신고 수는 1년 뒤인 2022년 422...
-
디지털 이코노미
유럽은 규제, 미국은 완화…최종목적은 자국 이익
규제가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은 경제학자들이 정책 설계의 중심에 등장한 1970년대부터다. 주된 수단은 비용편익 분석이었다. 정책의 비용과 효과를 수량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규제를 없애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목을 조르는 과도한 규제의 촉수를 잘라 버리겠다”라는 포부를 밝히면서 법규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을 실시했다. 미국, 규제는 해롭다는 인식 확고 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