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과학 기타
뭐! 우주가 10차원의 시공간으로 이루어졌다고?
과학자들 "유사블랙홀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할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과연 몇 차원의 시ㆍ공간으로 이뤄져 있는지를 밝히는 것은 물리학자들의 영원한 탐구 주제다. 과거 사람들은 시간과 공간은 전혀 별개의 개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이라는 천재에 의해 시간과 공간이 시ㆍ공간이라는 물리학적으로 연결된 개념으로 다시 태어나면서 사람들은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는 4차원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은 우주는 우리가 생각하...
-
경제 기타
이종수 현대건설 사장
"자신의 '성공' 잠재력 믿고 끝까지 도전하라" "누구나 자신의 능력을 100% 이상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어요. 최선을 다 하면 이루지 못할 게 없다는 얘기죠. '열정과 도전의식' 이것 만큼은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이종수 현대건설 사장은 올해로 회사에 입사한 지 꼭 30년째가 된다. 경력사원으로 입사해 해외현장과 기획ㆍ관리ㆍ자금분야를 두루 거쳐 2006년 3월부터 국내 최대 건설회사인 현대건설 최고 사령탑(대표이사 사장)에 ...
-
경제 기타
특수고용직보호법 실효성 있을까요?
법안 취지는 좋지만 노동자에 도움될지 의문 시장서 통하지 않는 포퓰리즘 정책 그만둬야 ☞한국경제신문 6월16일자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보험설계사, 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들은 앞으로 노동조합이 아닌 단체를 결성해 사업주와 계약 조건 등을 협의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업주의 지휘, 감독을 받는 등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일부 골프장의 캐디들은 근로자로 간주돼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 노동 3권을 보장받게 된다. 그...
-
경제 기타
주식시장은 어떻게 운영될까
주식을 사고 파는 곳이 증권거래소다. 우리나라는 증권선물거래소가 유일한 거래소이다. 미국이나 중국,인도 등은 복수의 거래소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 증권선물거래소 안에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선물시장이 있다. 이들 시장은 상장 종목(주식)이나 거래되는 상품이 각각 다르다. 주식을 사고 팔도록 증권선물거래소에 개설된 주식시장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이다. 국내 주식시장은 언제 열리고 거래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보자. ◆주식시장은 언제 열리...
-
제1회 전국 교사ㆍ강사 논제공모 대회…대한민국 논제 다 모여라!
국제 첫 논제 배틀 7월 9일 막 올라 논제 Pool 만들어 수업 현장서 활용 기대 주요 대학 입시에 방향 제시 효과도 예상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이 앞으로 매년 두 차례 개최하게 될 '전국 교사·강사 논제공모 대회'는 논제 부족에 허덕이는 논술교육 현장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일선 학교와 학원 선생님들은 논술 교육의 필요성은 절실히 느끼면서도 논술 교육에 필요한 적절한 논제를 찾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입니다....
-
25일부터 무료 금융동영상 강의
수강자는 8월19일 금융경시대회 참가자격 25일부터 생글생글i(www.sgsgi.com)에서 금융교육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의 후원을 받아 연세대 학생 동아리 SIFE가 제작한 이 금융교육 동영상은 금융,투자,신용 등 3개 분야에 걸쳐 20~25분짜리 총 8개로 구성됐습니다. 우선 1차로 '경제신문으로 금융시장 이해하기','금융시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위험과 다양한 투자수단의 이해' 등 3개가 오픈되며...
-
제3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결과 28일 발표
지난 5월20일 실시됐던 제3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결과가 6월28일(목) 생글생글i(www.sgsgi.com)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됩니다. 다음 주 생글생글 104호 지면을 통해서도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시대회 응시자들의 답안에 대한 첨삭 결과 및 성적표 등의 발송은 7월3일(화)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늦어도 7월6일까지는 모든 분들이 결과를 받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때 단체 응시자는 학교로, 개인 응시자는 접수시 입력한 주...
-
(54) 국어와 직업
언어감각 뛰어나다면 카피라이터 아나운서 도전을!!! 중고등학생들은 국어 공부에 많은 신경을 쓰고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그런데 이렇게 국어를 공부하여 어디에 활용할 것인가 궁금증을 한번씩은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한 방송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운데 우리말을 얼마나 올바로 알고 있는지를 주제로 한 것이 있는데 인기가 높은 것 같다.요즈음 우리나라 사회 전반적으로 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그 단적인 예로 최근 몇 년간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