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17) '된다'가 있으면 '안 된다'가 있고, '안 된다'가 있으면 '된다'가 있다
▶ '방가 / 방불가, 방불가 / 방가'라고 끊어 읽어요. 장자의 제물론에 나온 말로 철학적인 글이라 해석이 다양해요. 신념이 강한 사람일수록 '절대로, 반드시' 등의 표현을 자주 쓴다고 해요. 하지만 세상은 우리들이 이 말을 계속 쓸 수 있도록 내버려 두지 않아요. 만약 혼자 생각하고 혼자 결정하고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라면 모르겠지만, 만남과 관계의 쳇바퀴 속에 사는 우리가 상대적일 수밖에 없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건지도 몰라요. 허시봉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21일자
1.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을 구경만 한 뒤 실제 구매는 더 저렴한 인터넷을 통해서 하는 소비자를 말하는 신조어다.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급증하고 있는 이들은? ①그루밍족 ②쇼루밍족 ③노무족 ④딩크족 2. 직장이 없는데도 취업 또는 진학할 생각도 없고 직업훈련조차 받지 않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은? ①니트족 ②뭉크족 ③노마드족 ④핑크족 3. 작고 가벼워 옷을 입거나 액세서리를 차듯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군사 목적으로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84)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83회 스도쿠여행 정답: ⓐ-7 ⓑ-4 ⓒ-1 ⓓ-2 ⓔ-9 ⓕ-7 ⓖ-8 ⓗ-7 ⓘ-9 ★ 282회 당첨자: 남선호 박자랑 강경모
-
경제 기타
노동생산성 제고 외에는 답이 없다
[다산 칼럼] 노동생산성 제고 외에는 답이 없다 일본식 불황 뒤따라가는 한국 경제 성장 열매 따려면 휴일 늘리기보다 노동혁신 통해 자본생산성 높여야 한국 경제가 여러 측면에서 일본 경제를 닮아간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동감하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인구 고령화 속도가 그렇고 경제성장률 추이가 그렇다. 일본의 경우 노동자 1명이 노인 1명 가까이를 부양해야 하는 시대가 머지않았다는 것인데, 이는 상상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사회에 안길 것이 ...
-
경제 기타
10일간의 아제르바이잔 '교류기' 등
10일간의 아제르바이잔 '교류기' 아제르바이잔은 생소한 나라다. 카스피해 연안에 위치한 작은 나라며 비자받기조차 어려운 나라이다. 고교 1학년부터 대학교 3학년 학생 9명이 10일간 '생소한' 나라의 앨리스가 됐다. 이 여행은 해마다 여성가족부가 주관하고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주최하는 정부 간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이다. 국가 간 교류를 통해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이 세계를 보고 느끼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마련됐다. 경유지인 카타...
-
경제 기타
우리나라 교육 정책은 너무 어지러워요! 등
우리나라 교육 정책은 너무 어지러워요! 정부는 2017학년도 입시에서 대대적인 개편이 있을 것을 예고했다. 대입제도가 수없이 바뀌었는데 또 바뀐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교육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뚝 떨어진 상태다. “또 언제 바뀔지 모른다”는 식의 냉소적인 분위기가 팽배하다. 최근 외고의 이과반 폐지에 대한 문제가 불거지면서 문·이과 통합에 대한 문제도 재조명되고 있다. 문·이과 통합에 관한 문제는 한국사 필수 문제와 함께 계속 논의돼 왔던 ...
-
<37> 유형별 공략법 - 언어 논리 (1)
이번 시간에는 전공적성 유형 중 언어논리에 대해 살펴보자. 언어논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추론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다음의 글을 보자. 태섭이와 대만이는 고등학교 3년 동안 3일을 제외하고 매일 함께 등교했다. 졸업식 날 태섭이가 생활기록부 상의 지각횟수를 살펴보니 3년 동안 총 12번이었다. 따라서 대만이의 지각 횟수는 최소 9번에서 최대 15번일 것이다. 여기서 마지막 문장은 추론의 결론이고, 앞의 두 문장들은 그 결론을 옹호하는...
-
진학 길잡이 기타
정시 당락의 열쇠 '수능'에 일단 전력투구
▷ 2014학년도 대입 수시2차· 수능 준비 (1) 수능 이후 수시 2차 대학별고사도 주 1회 정도 미리 대비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7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 올해 수능 응시자 인원은 지난해 응시자 66만8522명보다 1만7770명 줄어든 65만752명이다. 이 중 재학생이 전체의 약 78%를 차지하는 50만9000여명이며 재수생 및 검정고시생은 14만1667명이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대다수 대학이 수시모집에서 추가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