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청소년들의 성장 일기 'IT'를 보고

    희대의 영화로 기록되고 있는 ‘쇼생크 탈출’의 작가 ‘스티븐 킹’. 최근 한국에서 개봉한 ‘IT’ 역시 스티븐 킹의 원작 중 하나이다. 공포라는 장르에 걸맞게 아이들의 눈에만 보이는 ‘삐에로’를 공포의 대상으로 설정했다. 하얀 얼굴에 주홍빛의 머리칼과 빨간 코. 하지만 ‘그것’은 삐에로가 다가 아니었다. 그것은 아이들이 무서워하는 무언가로...

  • 커버스토리

    경제학 역사에서 고전학파·케인스학파가 양대산맥

    경제(經濟)라는 말은 세상을 다스리고 국민을 편안하게 만든다는 경세제민(經世濟民)에서 유래했다. 영어 이코노미(economy) 역시 집안 살림하는 사람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oiko nomos’가 어원이다. 딱딱하고 어려운 경제학이지만 사실은 그 어느 학문보다 인간의 ‘먹고사는 문제’와 밀접한 학문임을 보여준다. 굵직한 역사적 사건이 터질 때마다 경제학은 급격히 발전했다. 산업혁명은 고전학파를, ...

  • 커버스토리

    행동경제학은 '현실적 인간'으로 경제학 영역 넓혔죠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바탕에는 주어진 정보를 이용해 언제나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이콘(econ·경제적 인간)’이 깔려 있다. 인간의 선택은 늘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라는 가정 아래 논리를 전개한다. 반면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제한된 합리성과 제한된 시간 등의 영향으로 인간의 선택 및 결정이 심리 상태나 특정한 행동양식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행동경제학은 이론적 토...

  • 경제 기타

    "독립하지 않고 언제나 아이로 남아있으려는 '피터팬'… 정부의 과도한 보호는 중소기업들의 성장 막아요"

    누구나 한 번쯤 피터팬을 책으로 읽거나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보았으리라. 영원히 어 른이 되지 않는 나라, 네버랜드에 사는 피터팬, 그리고 요정 팅커벨. 어느 날 밤, 우연히 피터팬 을 만나 네버랜드로 함께 모험을 떠난 소녀 웬디와 두 남동생, 피터팬과 맞서며 호시탐탐 나쁜 짓을 저지를 기회를 엿보는 후크 선장 등등. 꿈의 나라 네버랜드에서 벌어지는 모험 이야기는 지금까지 수많은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피터팬》을 읽어보자 ...

  • 경제 기타

    (4) 통상임금 대란 불씨는 '96년 판결'… 정기상여금에도 불똥

    4년 전 통상임금 소송 대란이 발생했다.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으로 주는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연장근로 등을 했을 때 지급하는 가산수당 등 법정수당 계산도구 기능을 한다. 근로기준법에는 연장근로 등은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해 지급하도록 돼 있다. 통상임금 범위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가산임금 규모가 달라지는 것이다. 잘못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한 가산임금의 경우...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파리바게뜨에 가맹점 제빵 기사 직접 고용하라는데 …

    정부가 국내 최대 제과 프랜차이즈 기업인 파리바게뜨에 가맹점 제빵 기사 5378명을 직접 고용하라는 시정조치를 내렸다. 인력 파견업체 소속인 기사들에게 파리바게뜨가 품질관리 차원에서 업무지시를 해온 것이 ‘파견근로자보호법’(파견법)을 위반했다는 것이다. 문제를 제기한 민주노총은 즉각 환영하고 나섰지만, 뚜레쥬르를 비롯해 프랜차이즈업계는 초비상 상태다. 정부는 한라그룹 계열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에서 일하는 파견 직원을 본사가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60돌 맞은 '큰사전'의 역사를 돌아보면 …

    올해 한글날은 최초의 우리말 대사전 격인 ‘ 조선말 큰사전 ’ 완간 60돌이기도 했다. 1947년 제1권을 펴낸 뒤 순차적으로 1957년 10월9일 마지막 제6권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9일은 571돌을 맞은 한글날이었다. 세종대왕이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 음력 9월 상한에 이를 반포했는데, 그것을 기념하는 날이 지금의 한글날이다. 10월은 우리말 역사에서 기억해야 할 일이 많은 달이다. ...

  • 테샛 공부합시다

    꿈꾸는 상경계 대학 진학에 성공하려면 동아리 활동과 테샛으로 공부 이어가야

    전국 주요 대학의 학과 중 모집정원이 가장 많은 곳이 상경계열 학과지만 고교 교육은 상경계열 진학 희망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형편이다. 사회교과 교사 중 경제·경영 분야를 잘 아는 교사가 드문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적성과 적성에 맞춘 자기주도학습, 경제 관련 활동을 알아서 해야 할 정도라고 한다. 이런 환경에서 경제·경영학 분야로 진학하려면 학생들은 나름대로 공부 계획과 활동 계획을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