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원전 폐쇄, 간단한 일만은 아니다

    "어느 것이나 장단점이 있다. 이론적으로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에너지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새 정부가 원전제로 정책을 내세웠다. 총 70%에 달하는 화력과 원자력에너지 비율을 감소시키고 친환경 액화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 50%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여러 전문가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원자력은 원자로에서 핵을 분열시키면서 나오는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에너지...

  • 7월 3일 (561)

    1. 대부업체가 채무자에게 적용하는 연 이자율에는 법적으로 최고한도가 정해져 있어 그 이상은 무효다. 현행법상 최고 몇 %일까? ①22.9% ②27.9% ③32.9% ④37.9% 2. 시대 변화에 따라 부상한, 과거와 다른 ‘새로운 표준’을 뜻하는 말이다. 경제에서는 저금리·저성장이 고착화한 환경을 뜻하는 말로 많이 쓰이는 이 용어는? ①히든 챔피언 ②뉴 노멀 ③블루 오션 ④솔로 이코노미 3. &lsqu...

  • 커버스토리

    경유가 친환경이라더니 이젠 미세먼지 주범?…경유차 타라는 건지 타지 말라는 건지 헷갈려

    우리나라 도로를 달리는 차(車) 열 대 중 네 대는 경유차다. 전체 차량의 42.7%인 927만1393대에 달한다.(올 3월 말 기준) 경유차는 차량 유지비를 아끼려는 서민들이나 소형 승합차를 모는 생계형 소상공인들이 많이 선택한다. 경유는 휘발유보다 15% 정도 싸면서 연비는 20% 이상 좋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 때는 이른바 ‘클린 디젤’ 정책을 앞세워 정부가 구매를 권장하기도 했다. 그런데 불과 몇 년 새 경유차는...

  • 경제 기타

    2021년까지 원전 폐기하기로 한 독일 전기요금 2배 오르자 다시 원전 '기웃'

    원전 폐기의 대가 최근 대한민국은 ‘탈(脫)원전’ 논쟁에 빠져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기념식에서 “고리 1호기 영구 정지는 탈핵 국가로 가는 출발점이자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대전환”이라고 말했다. 탈원전을 선언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게 아니다. 매년 여름 발생하는 전력 부족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지, 전기요금 상승은 어떻게 처리할지 등 해결할 문제는 산더미다...

  • 커버스토리

    에너지 가격 비율은 왜 100:85:50일까

    국제 원유(原油)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져도 국내 기름값은 찔끔 내려가는 데 그친다는 소리가 나온다. “배럴(159L)당 100달러 하던 국제 원유 가격이 50달러대로 떨어졌으면 국내 기름값도 절반 정도 내려가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의문이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그럴 만한 까닭이 있다. 무엇보다 기름에는 많은 세금이 붙는다. 부과되는 세금 종류도 6개나 된다. 휘발유를 예로 들면 휘발유값이 L당 1원이든 1000원이든 ...

  • 커버스토리

    단체급식보다야 엄마 도시락이 맛있지만…

    지난 주 28일과 29일 1920여개 학교가 급식을 중단했다. 급식을 담당하는 조리사와 영양사 등 1만4000여명으로 구성된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파업을 벌인 탓이었다. 이들은 비정규직 철폐와 근속수당 인상 등을 요구했다. 급식 중단사태가 벌어지자 많은 학교가 부랴부랴 급식을 빵과 우유로 대체했다. 일부 학교는 학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내 도시락을 싸서 보낼 것을 권하기도 했다. 아예 단축 수업을 하거나 밖에서 수업을 하는 현장학습으로 대체하는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전·월세상한제는 바람직한 정책인가

    올 들어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정부가 주택임대시장에 직접 개입하려고 한다. 주택의 전세나 월세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상승폭을 법제화하자는 것이다. 물론 무주택자 서민을 위한다는 취지이지만 시장 가격에 대한 정부의 직접 개입이다. 안 그래도 문재인 정부 들어서 통신비, 카드수수료, 보험료 등에 정부가 개입하면서 ‘신(新)관치’ ‘가격 통제’라는 비판도 일고...

  • 교양 기타

    (22) 이건희와 초일류 삼성

    삼성전자는 세계적 초일류 기업이 됐다. 인터브랜드 발표에 따르면 삼성의 브랜드 가치는 459억달러로 세계 7위다.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보다는 낮지만 GE와 BMW, 아마존보다 높다. 한국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이 탄생한것이다. ‘위기’ 속 찾아온 ‘기회’ 삼성을 이렇게 만든 주역은 이건희 회장이다. 이병철은 삼성을 한국 최고의 기업으로 만들었고 그의 아들인 이건희는 세계 최고 기업의 반열에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