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커버스토리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왔나
“자동차가 스스로 알아서 주행하고, 나는 차 안에서 사무를 처리하거나 영화나 본다.” 이제까지 공상과학 영화 또는 드라마에서나 가능했던 이런 꿈 같은 일이 점점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미 일정 구간에선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 않아도 자동차가 자동으로 운행되는 수준의 자율주행은 이뤄지고 있다. 이런 기술이 구현된 자동차가 부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정도다.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벽한 자율주행차 시대도 머지않았다는 전망...
-
커버스토리
한국, 2020년까지 3단계 자율차 상용화… 선진국과 격차 커
정부는 2020년까지 ‘3단계’ 자율주행 자동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은 2단계로 유럽 등 선진국(3단계 자율주행차 상용화)보다 늦다. 2단계는 앞에 있는 차량이 속도를 늦출 경우 알아서 감속하거나 차선 이탈을 감지해 막아주는 정도다. 3단계는 고속도로 등 일정 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운전자는 주의가 상당히 필요한 수준이다. 자율주행차 수준 0~5단계로 분류 정부는 2022년까지 완...
-
커버스토리
GM은 운전대·브레이크·페달 없는 자율주행차 곧 내놓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는 매년 1월 ‘CES (Consumer Electrics Show)’라는 가전제품 전시회가 열린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등 쟁쟁한 전자회사들이 매년 이 행사에서 신제품을 내놓는다. 과거에는 가전제품이 이 행사의 주인공이었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는 새로운 주인공이 등장했다. 바로 사람이 손 대지 않아도 움직이는 자동차, 자율주행차다. 자동차 업계 종사자들은 “자율주행차는 세계 모든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예사롭지 않은 미국의 공세… 정치·안보 관점까지 살펴야
사설…美의 통상공세, '한·미동맹 균열' 신호 아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산 세탁기와 태양광 패널에 대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라는 초강수를 들고나온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당수 통상 전문가는 “최대 대미 흑자국인 중국을 겨냥한 것이며, 그 와중에 한국까지 덩달아 피해를 입게 됐다”고 보는 듯하다. 미국의 반덤핑 규제 21건 중 14건(67%)이 중국과 동...
-
경제 기타
사회주의 경제는 왜 망했나
“나는 똑같은 민중을 보았다. 그러나 같은 소련 민중인데 내가 받은 인상은 완전히 달랐다. 그때의 민중은 오히려 제정시대 러시아 민중과 어딘가 닮았다고 생각했다. ” 프랑스의 대표적인 소설가 앙드레 지드가 한 말이다. 지드는 1936년에 절친한 문우인 작가 막심 고리키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소련으로 갔다가 상상과 다른 소련의 실상에 경악하고 말았다. “평등한 삶은 없었다” “...
-
과학 기타
빛의 굴절과 파장
“소나기 한줄기 지나가더니 / 먼 하늘에 무지개가 떴네. / 초등학교 때 열심히 외었던 / 빨 주 노 초 파 남 보… / 색동옷 꼬까옷만큼이나 고운 / 유년의 꿈 보여 주려고 / 서쪽 하늘에서 비춰 주네./ 세월이 훌쩍 흘러간 지금도 / 이상과 현실이 굴절되어 / 선명하게 활을 그리며 다가오네.” (‘문인회 작품집’ 김길순) 프리즘은 빛을 굴절시킨다 1447년 5월에 간행된 &lsquo...
-
디지털 이코노미
지능형 기계 등장으로 승자독식 더 뚜렷해질 것
“은메달을 딴 것이 아니라 금메달을 놓친 것이다. You don’t win silver, you lose gold.” 미국 여자농구 역사상 가장 많은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리사 레슬리가 출연한 1996년 나이키 광고에 삽입된 문구이다. 당시 큰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이 문구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2인자가 1인자를 넘어설 수 없게 된 ‘승자독식 경제’를 표현하는 가장 적절한 문장인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28) 데카르트 (하) 이원론
지난 편에서 살펴본 대로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를 통해 지금까지 자신이 믿고 있던 모든 것에 대해 치열하게 의심했으며 이 과정에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찾게 됐다. 그런데 데카르트가 이 명제를 찾은 것은 비유로 말하자면 의심이라는 망망대해로부터 자아를 건져냄으로써 자아가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한 것에 불과하다. 어떻게 보면 그가 건져 낸 자아는 의심이라는 바닷속의 외로운 섬과 같은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