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이야기
-
영어 이야기
아파트, 미국은 apartment 영국은 flat
Time out is not the same as isolation. Isolating a child is not an effective method of behaviour management, and practitioners should never put children into a room and leave them alone. If your practitioner is using this form of sanction question it immediately! Time out is similar to removing toys and equipment in that it deprives the child of something they want. Time out allows both the child and the adult to calm down and take control of themselves. This method of behaviour management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more serious misdemeanours such as destructiveness, violence, swearing, rudeness etc.- 《The Parent Guide to Childcare》에서 -시간 갖기는 고립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아이를 고립시키는 것은 행동 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관리하는 사람은 절대 아이를 방에 둔 채로 그들을 혼자 있게 해서는 안 된다. 만약 관리자가 이런 형태의 제재를 하고 있다면 즉각 이의를 제기하라. 시간 갖기는 아이로부터 그들이 원하는 무엇인가를 빼앗는다는 점에서 장난감이나 용품을 제거하는 것과 비슷하다. 시간 갖기는 아이와 어른 모두 흥분을 가라앉히고 그들 스스로를 제어할 수 있게끔 해준다. 이런 행동 관리 방법은 파괴, 폭력, 욕설, 무례 등과 같은 더 심각한 비행에 특히 효과적이다. 해설영국과 미국은 모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입니다. 하지만 영국영어와 미국영어는 완전히 동일하진 않습니다. 먼저 철자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문에 있는 behaviour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국영어 어휘에 대응되는 미국영어의 어휘는 바로 behavior입니다. 이처럼 미국영어의 -or와 영국영어의 -our의 차이를 보이는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영어의 color, humor, labor, favorite, fl
-
영어 이야기
돼지는 pig 돼지고기는 pork인 이유
The vast majority of insects have a life cycle that begins with an egg, from which hatches a wormlike stage(called a larva), which seals itself into a chamber (a pupa) in which it changes into a final adult form. This is called ‘complete metamorphosis’. The wormlike larva can be called many things depending on the species. In butterflies, the larvae are called caterpillars. In beetles, they are casheep meatlled grubs. Maggots are the larvae of flies. Some beetles and lacewings have very active larvae with large mouthparts used for hunting. These are called ‘campodeiform’ larvae.- 《Encyclopedoa of Insects》에서 -대다수의 곤충은 알에서 시작하는 생활주기가 있는데, 알로부터 (유충이라고 불리는) 벌레와 같은 단계로 부화한다. 그리고 유충은 그 자신을 (번데기라는) 공간에 봉인하는데, 여기에서 유충은 성충의 형태로 변한다. 이것을 완전변태라고 한다. 벌레와 비슷한 유충은 종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나비는 그 유충을 caterpillar(애벌레)라고 부르고, 딱정벌레는 그 유충을 grub(유충)라고 부른다. maggot(구더기)은 파리의 유충을 말한다. 몇몇 딱정벌레와 풀잠자리의 유충은 매우 활동적인데, 사냥에 사용되는 큰 입 부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을 모두 ‘좀 모양’ 유충이라고 불린다. 해설한국어의 어휘와 영어의 어휘가 일대일 대응되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합니다. 본문의 내용에서와 같이 ‘유충’ 또는 ‘애벌레’에 해당되는 어휘는 그 종에 따라 다른 어휘로 존재합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대회’라는 것도 어떤 대회냐에 따라 영어에서는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음악, 사진과 관련된 대회는 competition이나 contest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리고 농구, 축구와 같은 스포츠 대
-
영어 이야기
어휘가 접두·접미사와 결합하면 새롭게 태어나죠
Older organisms, having had many prior experiences with separation, can cognitively buffer the immediate absence of social companions with the confidence that reunion will occur at some fairly predictable future time. As our brains develop into maturity and beyond, cognitive abilities can come to outweigh simple emotional ones. Conversely, changes in higher brain functions in old age may again release subcortical functions, leading once more to the prevalence of certain emotional energies-feelings of frustration, anger, and loss.- 《Handbook of Emotion, Adult Development, and Aging》에서 -예전에 헤어짐을 많이 경험한 노인은 사회적 동료의 즉각적인 부재를 재회가 꽤나 예측 가능한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는 확신을 통해 완충한다. 우리의 뇌가 성숙 단계 또는 그 이후의 단계에 들어서면, 인지 능력은 간단한 감정적 능력보다 더 커진다. 반대로 노년의 고위 뇌기능의 변화는 피질하 기능을 다시 발산시키는데, 이는 좌절, 분노, 그리고 상실의 감정과 같은 특정한 감정적 에너지들이 다시 한번 더 지배적이 되게끔 한다. 해설영어 어휘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됩니다. 그중 하나는 개별 어휘와 접사(affix)를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개별 어휘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접사는 접두사(prefix)와 접미사(suffix)로 구분됩니다. 접두사는 개별 어휘의 앞에 위치해 결합하고, 접미사는 개별 어휘의 뒤에 위치해 결합하는 접사를 말합니다.여러 접사 중 out-이라는 접두사는 영어에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접두사 out-이 동사와 결합할 때에는 ‘-보다 많다/크다/길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본문에 있는 어휘 outweigh가 그 예입니다. weigh는 동사로 ‘저울질하다’ 또는 ‘무게가 나가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여기에 out-이
-
영어 이야기
that의 다양한 문법적 기능 알아야 정확한 해석 가능
It is hard to accept the notion that our passion for film is based in our recognition that the image is technically of the world past. […] Most of us are bitten by the motion picture bug before we know how photography works. […] But if that is so, it seems unlikely that it is their knowledge about the provenance of the motion picture in the world past which is the source, in any way, of the importance they find in movies. Rather, they are captivated by the moving visual narratives that come to them via film.- 《Philosophy of Film and Motion Pictures》에서 -영화에 대한 우리의 열정이 이미지가 기술적으로 과거 세계의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개념은 받아들이기 힘들다. […] 우리 대부분은 어떻게 사진술이 작동하는지를 알기도 전에 영화라는 벌레에 물린다. […] 하지만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관객이 영화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발견하는 중요성의 원천이 과거 세계에 있는 영화의 출처에 관한 그들의 지식인 것 같지는 않다. 대신 그들은 영화를 통해 그들에게 다가오는 감동적인 시각적 이야기에 의해 사로잡힌다. 해설영어는 동일한 철자를 가진 어휘가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that입니다.먼저 that은 동격의 절을 이끌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동격절이란 앞에 언급되어 있는 명사를 부연 설명하는 절로서, 대개 that으로 시작합니다. 본문의 it is hard to accept the notion that our passion for film is based in our recognition that the image is technically of the world past에서 동격의 절을 이끄는 that이 두 번 사용되었습니다. 먼저, 첫 번째 that은 바로 앞의 notion을 부연 설명하는 동격절을 이끄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that은 바로 앞에 있는 our recognition을 부연 설명하는 절을
-
영어 이야기
영어는 하나의 어휘가 동사·명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
Parent-child conflict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vey the moral principles that might guide social life. Parents’ discipline often involves instructing children in morally and socially acceptable behavior. When parents intervene in disputes between their children, they tend to address the child who has violated the siblings’ rights or welfare, they support moral principles, and children tend to adhere to those principles. Children also play a role in developing the principles that will help them get along with others. The resolution of young children’s property disputes reflects the priority of owners to control their belongings.-《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Child Development》 중에서-부모와 아이 간 갈등은 사회적 삶으로 인도해주는 도덕적 원칙을 알려주는 기회를 제공한다. 부모의 훈육은 흔히 아이에게 도덕적으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행동을 알려주는 것을 수반한다. 부모가 아이들 사이의 논쟁에 끼어들 때 부모는 형제·자매의 권리나 복지를 침해한 아이에게 말을 하는 경향이 있고, 도덕적 원칙에 힘을 실으며, 아이들은 그러한 원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아이들은 또한 그들이 다른 이들과 잘 지내게끔 도와주는 원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린 아이들의 소유물 논쟁의 해결은 주인이 자신의 소유물을 갖는 우선권을 반영한다. 해설영어에서는 하나의 어휘가 다양한 품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히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lp의 경우 명사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동사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help가 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A가 B하는 것을 돕다’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는 [help A (to) B]라는 형태를 갖습니다(여기서 B는 동사). 본문에 있는 문장 중 children also play a role in developing the principles that will hel
-
영어 이야기
[the majority of + 명사] 형태의 수는 명사에 따라 결정
The perspective of distance education as belonging to a somewhat marginalized category of instructional activity has a long history, and this has reinforced the idea that, by definition, such teaching is somehow less rigorous, less scholarly, and certainly less respectable than traditional, face-to-face models.Fortunately,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programs delivered at a distance prove this to be a patently false assumption, although a silver lining has emerged from such biases.Calls for the careful evaluation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require a clear delineation of what constitutes a rigorous course, how the courses under consideration are to be evaluated against these criteria, and ultimately how the results compare to our familiar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and Technology》중에서 -교육적 활동의 다소 중요하지 않은 범주로 여겨지는 원거리 교육에 대한 관점은 오랜 역사가 있으며, 이것은 정의상 그러한 교육은 전통적인 대면 방식보다 다소 덜 엄격하고, 덜 전문적이며, 확실히 덜 괜찮다는 생각을 강화해 왔다. 다행스럽게도, 비록 그러한 편견으로부터 밝은 희망이 생겨나긴 했지만, 원거리로 제공된 압도적 다수의 프로그램은 이것이 명백히 잘못된 가정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원거리 교육 프로그램의 세심한 평가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 엄격한 수업을 구성하는지, 어떻게 고려 중인 수업이 이러한 기준에 따라 평가될 것인지,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어떻게 결과들을 우리에게 익숙한 교육 및 학습 모델과 비교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계를 필요로 한다. 해설영어에는 다양한 형태의 명사구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을 포함하는 명사구가 다양한데, 이러한 명사구는 수일치에 있어서 재미있는 특성을 보입니다. 먼저 [the majority of + 명
-
영어 이야기
강조할 땐 'it (+조동사) + be동사 … that ~' 형태로
Over time, as his cough progressed, he began to wonder if it was consumption or might it be something else. No matter what it was, his body was being overtaken by it. His coworkers noticed that as the workday progressed his coughs got worse and he would often break out in cold sweats. When they brought it to his attention, he initially noticed that his coughs were not as bad when at home, particularly on his days off, so he knew from his wife’s dreaded disease that it was not the consumption that was making him ill. He suspected that it might be the chemicals from the dyes that were causing his cough. But slowly he noticed that he was not as strong as before and became concerned that it might be something more serious.- 《Freedom Road: An American Family Saga from Jamestown to World War》에서 -시간이 지나, 그의 기침은 심해졌고, 그는 자기가 걸린 것이 폐결핵인지 다른 질병인지 궁금했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의 몸은 점점 병들어갔다. 그의 동료들은 그가 일을 하면서 계속 기침이 심해지고 자주 식은땀을 흘리는 것을 알았다. 그가 기침에 대해 주목했을 때, 그는 처음에 그의 기침이 집에 있을 때, 특히 쉬는 날에는 그렇게 심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아내가 걸렸던 끔찍한 병에 비추어보아 그는 자신을 아프게 만든 것이 폐결핵이 아니라는 것은 알았다. 그는 기침을 유발하는 것은 염료로부터 나온 화학물질일 수 있다고 의심했다. 하지만 점점 그는 예전만큼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병이 더 심각한 것일 수도 있다는 걱정을 하게 됐다. 해설특정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서 각 언어의 기본 어순을 변형시켜 특수한 구문을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우리가 알고 있는 영어의 [it (+조동사) + be동사 ... that ~] 강조 구문인데, 이를 우리말로는 [~
-
영어 이야기
관계대명사 앞 전치사 원래 자리는 어디일까요
What might implicit emotion look like? Perhaps it resembles Sigmund Freud’s vision of unconscious mental life. Freud asserted that people are affected by emotional or motivational states of which they are not consciously aware. Later, when they reflect on their behavior, they realize their true feelings and motives. But that insight has the character of an inference, rather than an introspection, and they were never consciously aware of their feelings or desires at the time they acted on them. So the classic Freudian defense mechanisms are all designed to render a person unaware of his or her true emotions.-《Cognition and Emotion》에서-암시적 감정은 무엇과 비슷할까? 아마도 그것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적인 정신생활에 대한 생각과 닮았을 것이다. 프로이트는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알지 못하는 감정 또는 동기부여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이후에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을 되돌아보면, 그들은 그들의 진정한 감정과 동기를 깨닫게 된다. 하지만 그 통찰력은 자기 성찰이라기보다는 추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그것에 따라 행동할 때 의식적으로 알지 못한다. 그래서 고전적 프로이트의 방어 기제는 한 사람이 자신의 진짜 감정을 알 수 없게끔 설계되었다. 해설관계대명사 which가 이끄는 절은 그 절 앞에 위치한 선행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관계 대명사 바로 앞에 전치사가 위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문에 있는 문장 Freud asserted that people are affected by emotional or motivational states of which they are not consciously aware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문장은 Freud asserted that people are affected by emotional or motivational states와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