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
테샛 공부합시다
최근 부동산·주식 가격 상승은 통화량 늘어난 영향도 있죠
지난달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통화 및 유동성’에서 6월 M1(협의통화)은 1058조원으로 전월 대비 2.2% 증가했다. M2(광의통화)는 3077조원으로 같은 기간 0.8% 늘어났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각각 21.3%와 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량이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음을 지표는 보여주고 있다. 시중에 풀린 통화량의 증가가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일까? 화폐와 통화량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재화·서비스를 이용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기 위해 화폐를 사용한다. 1만원권, 5만원권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지폐가 이에 해당한다. 화폐는 기본적으로 교환의 매개수단, 지급수단, 가치저장수단, 가치의 척도, 회계의 단위 등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화폐는 역사적 시기에 따라 사회에서 일반적인 거래 수단으로 통용된 조개껍질에서 금·은과 같은 귀금속, 현재의 지폐, 전자화폐까지 변화와 발전을 거쳤다. 과거 물물교환 경제에서는 상대방과 거래 목적이 서로 일치해야 했다. 쌀을 가지고 있지만 사과가 필요한 A와 사과를 가지고 있지만 쌀이 필요한 B 사이에서만 물물교환이 이뤄졌다. 하지만 화폐경제는 이런 불편함을 해소해 화폐를 매개로 교환·분업이 이뤄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경제활동이 활발해졌다.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경제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시중에 풀린 화폐 규모는 갈수록 커져갔다. 즉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의 양인 통화량이 증가했다. 통화지표 세분화해 통화정책에 참고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를 세분화해 이를 바탕으로 통화정책을 수행할 때 참고하고 있다. 통화지표를 살펴보면 M1, M2, Lf(금융기관유동
-
경제 기타
'개가 짖을때 됐다'…인플레에 베팅하는 큰손…금값 8년 만에 최고, 부동산 가격도 '들썩'
금값이 연일 상승하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0.22% 오른 온스당 1766.40달러(약 213만원)로 마감했다. 2012년 2월 이후 8년여 만의 최고 기록이다. 최근의 금값 랠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진 지난 3월 중순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위험자산인 주식 가격이 크게 반등하는 현시점에도 금값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금 투자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침체에도 선제적 인플레 대비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예상하고 금과 물가연동채권, 부동산, 목재 등에 눈독을 들이는 글로벌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부양을 위한 막대한 재정 지출과 중앙은행의 ‘돈 풀기(양적완화)’가 10년간 잠자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깨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6%로 급락할 것으로 예상(OECD)되는데 인플레를 걱정하는 건 기우(杞憂)라는 지적도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맞서 각국 정부가 막대한 유동성을 풀어놓은 뒤에도 물가안정세는 10년 가까이 이어졌다. 미국이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을 동시에 달성하자 ‘실업률과 물가는 반비례한다’는 경제학의 필립스곡선이 고장났다는 얘기도 나왔다.2013년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런 현상을 ‘짖지 않는 개’에 비유했다. 코난 도일의 추리소설 《바스커빌가의 개》에서 명탐정 셜록 홈스는 집안에서 살인사건이 났는데도 개가 짖지 않았다는 건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막대한 유동성에도 글로벌 물가가 안정세를 보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