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수시와 정시의 갈림길

    ‘내가 수시파인지 정시파인지는 내가 정하는 게 아니라 대학이 정하는 거야. 대학이 널 수시로 합격시켜 주면 너는 수시파이고 널 정시로 합격시켜 주면 정시파인 거야’라는 학교 선생님의 말씀은 제가 수험생활 동안 마음에 새겼던 문장입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되면서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전형 중 제가 어떤 전형에 더 유리할지 생각하게 됐고, 지방 외국어고등학교에 재학하면서 내신이 나쁘지 않은 편이라 자연스럽게 수시 학생부 종합...

  • 대학 생글이 통신

    자소서를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보자

    안녕하십니까? 저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에 재학 중인 최준혁입니다. 2020학년도 수시 학교 추천2 전형으로 고려대학교에 합격했습니다. 정시는 수능 성적만 반영하는 곳이 많은 만큼 수능 시험만 잘 보면 점수에 따라 지원한 대학에 들어갑니다. 수시는 이와 다르게 고등학교 3년간 활동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제가 합격한 학교 추천2 전형은 흔히 ‘학생부 종합’으로 불리는 전형으로 생활기록부 전반의 내용과 내신, 자소서,...

  • 진학 길잡이 기타

    인문논술의 핵심은 논리적 사고·분석 능력과 글쓰기죠

    안녕하세요, 학생 여러분. 지면을 통해서지만 많은 사람과 만난다는 것이 설렘으로 다가오네요. 저는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 대치동에서 인문계 논술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10년 가까이 가르치면서 수많은 합격생과 함께했어요. 돌이켜보면 학생들과 함께한 거듭된 깨달음과 성장, 같이 나눈 기쁨과 눈물, 그리고 보람이 찬란합니다. 공부할수록 부족함을 느끼는 저는, 여러분과 함께 성장하기를 원합니다. 논술교육 현장에서 가장 보람찬 것은 무엇일 것 같나요?...

  • 교양 기타

    "국가가 자유·안전 보장 못하면 복종의무 없다"

    “천성적으로 자유를 사랑하는 인간이 권력자 또는 국가에 권리를 양도하는 것은 자연상태의 ‘만인 대 만인의 투쟁’에서 벗어나 개인의 안전과 평화를 보장받기 위해서다. 권력자가 이런 사회계약의 의무를 지키지 못한다면 그에게 복종할 이유가 없다.” 토머스 홉스(1588~1679)가 쓴 《리바이어던》은 국가의 필요성을 사회계약설을 통해 설명한 책이다. 이 책의 표지 그림은 리바이어던이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 ...

  • 진학 길잡이 기타

    전년도 SKY대 학생부종합 합격생 80%는 내신 1등급대

    9월 23일부터 전국 대학이 2021학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시작한다. 수험생은 여섯 번을 지원할 수 있다. 수시모집 지원전략에서 기본은 상향, 적정, 안정 지원을 균형 있게 분배하는 것이다. 목표대학이 뚜렷하면 재수를 각오하고 상향 지원에 더 무게를 두는 등 개인차가 있다. 반대로 여섯 번 모두 안정지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무엇을 기준으로 상향과 적정을 판단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많다. 이럴 때 전년 수험생들의 지원경향은 큰 도움이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외래어 '욜로', 고유어 '욜로'

    ‘욜로’는 외래어다. Yolo, 즉 ‘You only live once’의 앞글자를 딴 용어다. ‘인생은 한 번뿐이다’라는 뜻의 말로, 현재의 행복을 중요하게 여기는 생활 방식을 말한다. 2013년께부터 한국 언론에 소개되기 시작해 2017년을 전후해 우리 사회의 여러 소비문화 현상 가운데 하나를 가리키는 말로 자리잡았다. ‘요리로’가 줄어 ‘욜로...

  • 학습 길잡이 기타

    Rich에는 진하고 풍부하다는 뜻도 있어요

    Uptown girl 부잣집 아가씨 She’s been living in her uptown world 그녀는 부자동네에서 살아왔죠. I bet she never had a back street guy 그녀는 뒷골목 건달을 만나본 적 없을 거라 확신해요. I bet her mama never told her why 그녀의 엄마는 이유도 말해주지 않았을 거예요. I’m gonna try for an uptown...

  • 생글기자

    코로나19로 본 과학과 사회의 관계

    코로나19는 전 세계로 퍼져 우리의 일상부터 생활 양식까지 곳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인류에게는 사회를 이루어서 생활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많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은 과학 지식이 있다. 이는 인류에게 있었던 위기를 넘기는 데 도움을 주었고 코로나19에서도 그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사회와 과학은 각자의 역할이 있으면서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코로나19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이러한 관계가 잘 드러난다. 첫 번째로 과학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