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효과보다 부작용 우려되는 비만세 도입
비만이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비만세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만세란 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식품에 별도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설탕과 지방 함유량이 높은 식품과 음료에 세금을 붙여 소비가 줄어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비만세 도입에 찬성하는 측은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한국인의 비만율은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6일 (788)
1. 다음 중 나랏빚 규모가 과중해지지 않도록 통제하기 위한 규범을 뜻하는 용어는? ①5%룰 ②10%룰 ③재정준칙 ④재정승수 2. 다음 중 해운산업의 업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수는? ①BDI ②CPI ③PCE ④DSR 3. 새 아파트를 분양할 때 적용하는 ‘청약가점제’에서 점수 산정에 반영되는 요소가 아닌 것을 고르면? ①무주택 기간 ②부양가족 수 ③연소득 ④청약통장 가입 기간 4. 성장동력을 훼손하지 않...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원과 접선은 왜 서로 수직일까?
정답은 매우 간단하다. ‘수직이 아니면 안 되기 때문’이다. 좀 더 부연해서 설명하면, 이미 ‘원’과 ‘접선’이라는 용어의 개념과 정의에 문제의 정답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론을 부정하면 해당 개념과 정의에 근본적으로 위배됨을 보이면 된다. 이와 같이 직관적으로 익숙하면서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명제를 증명할 때 결론을 부정해 모순을 이끌어내는 ‘귀류법&rsquo...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골의 '창씨개명'…고유의 성(姓)을 잃다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으로 제정러시아가 무너지고 얼마 뒤 ‘소련’이 등장했다. 세계 최초로 탄생한 사회주의 국가다. 이어 1921년 소련의 원조로 몽골에 세계 두 번째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몽골 공산정부는 곧바로 ‘창씨개명’ 작업에 들어갔다. 조상 계보에 따른 충성심이 국가에 우선해선 안 된다는 명분하에 성씨(姓氏) 사용을 금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몽골에선 전통적으로 써오던 성(姓)이 사...
-
대학 생글이 통신
새 학기에는 학습계획 세우고 오답노트 정리하세요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은 설레는 마음과 걱정되는 마음이 공존하는 시기입니다. 새 학기를 맞아 학교생활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소개합니다. 첫 번째로, 계획을 세우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저는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기준으로 두 달 계획, 한 달 계획, 주 계획, 하루 계획으로 세분화해 공부했습니다. 큰 틀을 잡아서 두 달 안에 끝내고 싶은 목표를 세우고, 이를 나눠 점점 작은 범위로 좁혀나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계획을 세울 때는 무리하지...
-
경제 기타
상대방 행동에 대한 최적대응을 내시전략이라 해요
지난주까지 게임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용의자의 딜레마게임을 중심으로 경제현상 속에서 발생하는 게임에 관해 설명했다. 대부분의 경제학 책이 과점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용의자의 딜레마게임 위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의 경제현상에서는 용의자의 딜레마게임 외에 다양한 게임이 나타난다. 이번 주에는 용의자의 딜레마게임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성대결게임(battle of sexes game)에 대해 살펴보자. 성대결게임의 내용 성대결...
-
과학과 놀자
소리의 파동을 응용…정보통신의 핵심 기술이죠
'요즘 TV에선 노래 실력을 겨루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인기다. 컴퓨터를 켜면 음악을 배경으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나 동영상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우리 생활에서 음악이나 소리가 주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사례다. 음악 소리뿐만 아니라 모든 소리는 파동으로 이뤄져 있고, 이런 파동을 정보통신 장치로 빠르게 주고받는 데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라는 기술이 큰 몫을 하고 있다. 푸리에는 62세 되던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정의를 하지 않으면 과학적 탐구 활동이 불가능하다
하루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하루 동안의 총 열량 소모량인 대사량으로 구한다. 그중 기초 대사량은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로, 쾌적한 온도에서 편히 쉬는 동물이 공복 상태에서 생성하는 열량으로 정의된다. 이때 체내에서 생성한 열량은 일정한 체온에서 체외로 발산되는 열량과 같다. 기초 대사량은 개체에 따라 대사량의 60~75%를 차지하고, 근육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기초 대사량은 직접법 또는 간접법으로 구한다. 직접법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