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교수도 노동조합이 필요한가요?
☞한국경제신문 5월5일자 A8면 전국 주요 사립대 총장들이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이를 정부와 헌법재판소에 전달하기로 했다. 사립대 총장들이 사학법 등에 대해 공동 결의문 형식으로 입장을 표명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전국 158개 사립대 총장으로 구성된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회장 손병두 서강대 총장)는 4일 오후 서강대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사학법과 교수노조 설치 등에 관한 의견을 담은 결의문을...
-
경제 기타
주가지수는 어떻게 만들까?
"코스피지수가 경기 회복 기대감과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코스닥지수도 1년 만에 700선을 돌파했습니다." 요즘 신문이나 TV를 보면 자주 접하는 뉴스다. 최근 한국 주식시장은 하루가 멀다 하고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시장 흐름을 전달하는 데 쓰이고 있는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이 밖에 이들 외에 다른 지수는 없는지 하나씩 알아보기로 하자. ◆주가지수란 국내 주식시장에서...
-
(50) 대학교수
학자의 지적능력과 교육자의 사명감 겸비해야 5월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정부는 불우한 퇴직 교사 또는 질병에 걸린 교사를 위로하자는 차원에서 1964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스승의 날을 맞아 각급 학교에서는 다양한 행사를 계획 중이며 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은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선생님들을 찾아뵙기도 한다. 사실 스승의 날을 둘러싼 각종 잡음 때문에 몇 년 전부터 스승의 날을 학기가 끝나고 학생 지...
-
학습 길잡이 기타
(시론) 한국엔 위인이 별로 없다?
윤태훈 < 한양대 명예교수ㆍ토목공학 > ☞한국경제신문 5월10일 A38면 외국, 특히 유럽을 가보면 도시 곳곳에 동상이 세워진 것을 볼 수 있다. 런던 트라팔가 광장에는 높은 기둥 꼭대기에 넬슨 제독의 동상이 있다. 이는 넬슨 제독이 트라팔가 해전에서 프랑스 나폴레옹 함대를 물리친 승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광장을 트라팔가 광장으로 명명하고 거기에 광장 너머까지 멀리 내려다 보는 넬슨 동상을 세운 것은 트라팔가 해전...
-
경제 기타
글쟁이 멋쟁이 여러분 생글기자에 도전하세요
다음달 11일까지 신청받아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제3기 생글생글 학생 기자를 모집합니다. 생글 기자는 학내외의 다양한 뉴스와 이슈들에 대해 취재하고 생글생글 신문에 이를 보도하게 됩니다. 별도의 보수는 없지만 채택된 기사에 대해서는 원고료를 지불합니다. 생글 기자로 선발되면 한국경제신문 현역 기자들의 지도를 받으며 취재와 기사작성에 대한 훈련도 받게 됩니다. 최고의 논술 교육도 더불어 받는 셈입니다. 지난 2년 동안 1, 2...
-
경제 기타
잉어들의 놀이터, 양재천
현재 양재천은 서울뿐만이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과 사람들의 방문으로 인기가 넘쳐나고 있다. 도대체 양재천에서 무슨 일들이 일어나고 있기에 10년 전까지만 해도 관심 밖이었던 이 곳이 이렇게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일까. 양재천은 1990년대 서초구, 강남구의 정비사업 성공 사례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실제로 그 이야기가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에 실리기도 했다. 양재천의 길이는 18.5km로,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의 관악산 남동...
-
학습 길잡이 기타
긴가민가와 아리까리
이건지 저건지 불분명할 때 우리는 '헷갈린다'고 한다. 그럼 이 말을 일본어로 하면? '아리까리'. 프랑스어로는 '알숑달숑', 독일어로는 '애매모흐(애매모호)', 아프리카어로는 '깅가밍가(긴가민가)'다. 물론 시중에 떠도는 우스갯소리다. 이 가운데 '아리까리'는 실제로 일본에서 온 말인 줄 착각하는 이들도 많은 것 같다. 모두 우리말이지만 그 의미 영역이 서로 미세하게 다를 뿐 쓰임새는 거의 비슷한 말들이다. '긴가민가하다'는 '그런지...
-
학습 길잡이 기타
30. 얇다랗다 vs 얄따랗다
표기에도 효율성의 원리가 있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넓직하다, 핥작거리다, 짧다랗다.' 이런 단어들을 접했을 때 사람에 따라 표기가 낯설다고 여길 수도 있고 이상하게 느끼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우리는 한글맞춤법을 이해하는 기본 열쇠로 '소리적기'와 '형태 밝혀 적기'를 다뤘다. '소리적기'의 요체는 어떤 단어가 특별한 이유 없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이다. '얇다랗다'로 적지 않고 '얄따랗다'라고 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