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영어 이야기
따라 하다, 전례를 따르다 'follow suit'
Goobne Chicken, a chicken franchise company, raised the prices of its nine menu items by 1,900 won each. The price of its signature chili crispy fried chicken rose 10.5% to 19,900 won. It marked the first price hike by the chicken franchise in two ye...
-
대학 생글이 통신
일본이 강점 지닌 분야로 유학하는 게 바람직
일본 유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관련 정보는 유학원 등에서 충분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일본 대학에 재학 중인 사람으로서 학생들이 어떤 마음가짐으로 일본 유학을 준비하면 좋을지 얘기해보겠습니다. 먼저, 일본은 대학을 선택하는 기준에서 한국과 조금 다릅니다. 예를 들어, 의대에 대한 일방적인 선호 현상을 일본에선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선택의 다양성이 존재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
대입전략
SKY, 국수탐 합 인문 277점·자연 285점 추정…정시 지원 대학 가늠 뒤 수시 목표대학 결정을
대입 전략은 고3 첫 전국 모의고사인 3월 학력평가부터 시작된다. 국어, 수학 선택과목에 처음 응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이과 유불리 등을 해석하고 향후 학습 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 성적의 객관적 위치를 점검하는 것이다. 대입 전략의 큰 틀은 정시 분석에서 시작한다. 정시에서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의 수준을 가늠한 뒤, 이를 기준 삼아 수시에서 목표할 대학을 결정짓는다. 종로학원이 3월 학력평가 성적을...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비상 경영' 삼성·SK 임원 주말 출근, 합리적인가
국내 최대 기업 삼성전자를 포함한 삼성그룹 전체 계열사 임원들이 ‘주 6일 근무제’에 돌입했다. 그간 반도체 개발 등 실적이 부진했던 부문의 일부 임원이 토요일 근무를 해왔으나 담당 분야와 관계없이 전 계열사가 하루 더 일하기에 나선 것이다. 재계 2위인 SK그룹도 최고 경영진과 주요 계열사 CEO들이 참석하는 토요일 사장단 회의를 20년 만에 재가동했다. 국내외 기업 환경이 그만큼 어려운 것이다. 한편으로 기업은 업무 효...
-
경제 기타
세계 각국이 '일본화 현상'…탈출구는 혁신
한국 경제가 장기 저성장 국면에 들어섰다는 지적이 반복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고성장을 이룩한 뒤 낮아진 성장률이 계속되는 현상을 말하죠. 저성장이 이어지면 다양한 사회문제가 따르는데요, 저성장에 대한 사회적 고민이 커지는 만큼 관련 문제를 익혀두면 수능뿐 아니라 논술 등 여러모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2년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전 세계는 장기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었죠. 코로나19로 돈을 풀기 시작하고, 그 돈으로 오른 물가를 잡...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선하다'와 '우선시하다'의 구별
“의대 교수들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근무시간을 주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등 의료 현장의 혼란이 지속하고 있다.” 정부가 2월 발표한 의과대학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끝모르게 이어지고 있다. 언론보도도 매일 중계하듯이 이어지고 있다. 독자들이 접하는 이런 문장은 괜찮을까. 아쉽지만 비문이다. 읽다 보면 걸리는 데가 있다. ‘혼란이 지속하고 있다.’ 이 문장이 어색한 까닭은 동사 &...
-
대학 생글이 통신
주변 권유에 떠밀린 '반수'는 경계해야
반수 열풍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하게 부는 것 같습니다. 직장인도 의대에 도전한다는데, 대학생이 입시에 다시 도전하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저는 반수를 선택하기 전, 반수하고자 하는 이유를 명확히 하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잡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학교 평판에 대한 욕심 때문이라면, 내가 궁극적으로 ‘대학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어요. 또 구체적인 반수의 방법, 그...
-
교양 기타
살았을 땐 죽이려 하고 죽은 뒤엔 아름답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연히 읊다(偶吟) 조식 사람들이 바른 선비를 대하는 것은 호랑이 가죽을 좋아하는 것과 같아 살았을 땐 잡아죽이려 하고 죽은 뒤엔 아름답다 떠들어대지. * 조식 (曺植, 1501~1572): 조선 중기 대학자. 16세기 유학자 남명(南冥) 조식(曺植)이 세상의 속된 인심을 호랑이 가죽에 빗대어 쓴 풍자시입니다. 요즘도 마찬가지지요. 언행이 올바른 사람을 보면 모두가 존경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가 마뜩잖고 불편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