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성장둔화·물가 '고공' 불가피··· 한은 물가 전망 상향
한국은행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2%,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9%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경제성장이 둔화하고 물가는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우 한은 조사국장은 13일 '경제전망 수정' 브리핑에서 "구제역의 영향을 받는 축산물과 외식 가격 상승이 물가상승률을 0.3%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며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0.4%포인트가 추가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은 물가상승률을 0.4%포인트 낮...
-
경제 기타
1억원 이상 연봉자 20만명 육박 등
⊙ 1억원 이상 연봉자 20만명 육박 '꿈의 연봉'으로 불리는 1억원 이상 연봉자가 2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세청이 발간한 '한눈에 보는 국세통계'에 따르면 2009년 전체 근로자 1429만5000명 중 연봉 1억원이 넘는 근로자는 19만7000명으로 작년에 비해 약 2000명이 증가했다. 이 중 서울 거주자가 9만3000명으로 전체의 47.7%를 차지했다. 서울을 비롯해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는 전체의 74...
-
커버스토리
'장하준의 자본주의'를 해부한다
▶ 장하준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는 이유...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쓴 책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는 30만부가 넘게 팔렸다. 자유시장 경제학자의 주장 23가지를 조목조목 비판한 책이 이렇게 많이 팔린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일반인들에게 이상한 것은 장 교수한테 그렇게 비판을 받는데도 왜 자유시장경제학자들은 제대로 대응을 하지 않는가이다. 여러 사람들에게 질문을 해보니 이유는 비슷했다. 장 교수의 책이 대중적 인기를 누리고...
-
경제 기타
도마위에 오른 'KAIST식 교육'···“수업방식 바꿔야” vs “개혁 지속” 팽팽
징벌적등록금·'영어강의논란' ···'서남표 리더십' 기로에··· '과학 수재'들이 다니는 KAIST가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올 들어 학생 4명과 교수 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학사운영과 학생관리 방식이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숨진 학생과 교수의 사연이 저마다 달라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한 학교에서 이처럼 연달아 비극이 벌어진 것은 유례를 찾기 힘들어 많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한쪽에서는 서남표 KAIST 총장의...
-
경제 기타
"성장보다는물가잡기가 먼저"…유럽·아시아 국가들 줄줄이 금리인상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 심각…“성장 발목 잡는다” 우려도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각국이 금리 인상에 나섰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 예금이자와 대출이자가 오른다. 사람들은 소비보다는 저축을 선호하게 된다. 결국 시장에 풀리는 돈이 줄어들고 이는 제품,서비스 등 재화에 대한 수요 감소를 초래한다. 각국이 금리를 인상한 것은 경제 성장보다는 물가 안정에 무게를 두겠다는 뜻이다. 최근 석유 곡물 비철금속 등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
-
경제 기타
시장경제 시스템을 최초로 구축한 로마인들
오늘날과 같이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제도들이 있다.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전개하게 만들어준 가장 기초적인 원동력이 된 사유재산제도라든가,값싼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공급해 주는 회사를 손쉽게 설립할 수 있게 만들어준 주식회사제도 등이 그런 예시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일련의 제도들이 근현대에 와서야 도입된 것으로 알고 있으나,현재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많은 제도는 이미 로마인들이 도입...
-
경제 기타
고액권 발행 다시 생각해봐야 할까요.
찬 “ 범죄 · 불법자금으로 악용돼 지하 경제 창궐 ” 반 “ 화폐 단위가 범죄와 탈세 키우는 건 아니다 ” 전북 김제의 한 마늘 밭에서 불법 인터넷 도박 수익금이 5만원 짜리 뭉치로 무려 110억원이나 발견되는 일이 발생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최고액권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시중에 5만원권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돌고 있다. 누군가가 범죄나 불법 상속 등의 용도로 5만원권을 은닉하는 경우가 늘...
-
학습 길잡이 기타
(56) "같은 방향의 제시문을 다른 언어로 설명하기"
이번호에는 지난주 예고해드린 바와 같이 설명하기 이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011년판 초급교재 41페이지에 있습니다. ) 공통 관점 찾기와 서로 다른 관점 비교하기가 가장 기초적인 단계의 문제들이라면,설명하기(+비판하기)는 중급 이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문제유형입니다. 이 유형 역시 공통점이나 비교하기 문제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포맷에 대한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하고 싶은 말을 효율적으로 쏟아낼 수 있어야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