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11월 8일 수능 시험 날…직장 출근 1시간 늦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되는 11월8일 오전에는 관공서와 기업체의 출근시간이 한 시간 늦춰진다. 지하철과 전철, 시내버스는 수험생의 시험장 입실 시간대에 집중 운행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3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교통 원활화 및 시험장 주변 소음방지와 문제·답지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25일 발표했다. 올해 수능은 11월8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35분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191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응시자는 작년보다 2만5...

  • 경제 기타

    '일가 재산 3조원' 의혹에 휘말린 원자바오 중국 총리

    "재산 다 조사해라… 부패땐 즉각 사임할 것" 중국의 2인자 원자바오 총리가 부패 의혹에 휩싸였다. 의혹을 제기한 곳은 미국의 유력지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 이 신문은 중국 주재 특파원발 기사로 원 총리 일가의 재산이 3조원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평소 마음씨가 좋은 옆집 아저씨 같은 서민적 이미지로 대중적 인기를 받고 있는 원 총리에겐 치명적이다. 보도 내용이 알려지자 중국 공산당은 일제히 원...

  • 경제 기타

    복지재원 마련위해 부가세 인상한다고?

    콜라 한 캔을 사도 세금을 낸다. 1000원짜리 콜라 한 캔을 살 때 사실 그 콜라를 파는 판매자가 받아서 가져가는 돈은 약 910원이다. 나머지 약 90원, 즉 가격의 10%는 부가가치세라는 이름의 세금이다. 이 세금은 판매자가 아닌 국세청에 세금으로 납부되는 돈이다. 부가세와 판매가가 더해져 소비자가격이 되는 셈이다. 부가세는 물건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세금이다. 물론 최종 소비자만 부담하는 것은 아니고 원재료를 구입하고 이를 ...

  • 커버스토리

    선진국 돈 풀기 경쟁…'환율 전쟁' 불붙였다

    총성없는 환율전쟁(currency war)이 세계 경제를 강타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자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연쇄적으로 돈을 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국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려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경제를 살리겠다는 '환율 이기주의'다. 선진국이 통화가치 떨어뜨리기에 나서자 한국과 브릭스(BRICs) 국가 등도 다급해졌다. 자국 통화가 강세일 경우 수출에 큰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세계는 '돈풀기 전쟁'으로 빠져들고 ...

  • 커버스토리

    원화 가치 강세…수출기업 '울고' 유학생 '웃고'

    통화가치(환율)는 양면성이 있다. 우리나라 원화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가치 하락)하면 수출기업에는 도움이 되지만 수입가격이 올라 물가가 불안해진다. 또 한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들에게는 쇼핑할 수 있는 여건이 좋아지지만 해외로 나가는 한국 유학생이나 관광객은 비용 부담이 커진다. 금융시장이 개방된 상황에서 외환당국이 환율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어느 방향으로 조정할지의 선택 역시 고민스러운 이유다. 원유나 금 등 주로 달러...

  • 경제 기타

    "지진 예측못한 과학자는 유죄"…21세기 갈릴레오 재판?

    천재지변 예측에 실패한 과학자들은 어디까지 책임을 져야 할까. 이탈리아 법원은 최근 지질학자 6명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수백명의 사망자를 낸 대지진을 예측하지 못했다는 이유였다. 과학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바람에 지진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계는 자연재해를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며 이번 판결로 과학자들의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크게 반발했다. “과학자들의 안일한 태도에 대한 경종”이라는 의견과 “과학을 희생양으로 삼...

  • 경제 기타

    해방 이후 한국경제 소득불평등 개선한 인플레이션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경제시스템을 구축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불과 반세기 만에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탈바꿈했으며 극빈국에서 세계 10위권의 무역 규모를 자랑하는 국가로 거듭난 것이다. 우리 경제가 양적인 측면에서만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양극화가 우리 경제의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긴 하지만 최근까지 비교적 균등한 소득분포 속에서 달성한 경제 성장이라는 점에서 ...

  • 경제 기타

    국회의원 수 줄이는게 옳을까요

    찬 "일 안하고 특권 누리는 관행 없애자는 것" 반 "숫자 줄이는 건 정치 개혁의 본질 아니다" 대선을 50일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권이 이번에는 국회위원 수 공방에 휩싸였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제시한 정치개혁안에 의원 수를 줄이는 방안이 포함되면서 이를 둘러싸고 후보들간은 물론 정치권에 찬반 논란이 뜨겁다. 안 후보가 제시한 정치개혁안은 비례대표 의원 수를 늘리고 지역구 의원 수는 줄여서 전체 국회의원 수를 줄이자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