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81> 나란히 서있는 두 사람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걸불병행(乞不竝行): 비럭질은 여럿이 함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것을 요구하는 사람이 여럿이면 그것을 얻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 병주고향(竝州故鄕):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가도(賈島)가 병주(竝州)에 오래 살다가 떠나면서 한 말에서 유래한다.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병렬(竝列): 나란히 늘어섬. 또는 나란히 늘어놓음. -병창(竝唱):...
-
경제 기타
경제 민주화가 일자리를 늘린다고?
경제위기와 경제민주화 18대 대선후보 2차 TV 토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경제민주화 방안과 관련해 시각 차이를 드러냈다. 박 후보는 누구나 열심히 노력하면 자기의 꿈과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경제 질서 확립'을 제시했다. 반면 문재인 후보는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뚝 떨어진 것은 우리의 시장경제가 공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재벌개혁의 필요성을 강조...
-
커버스토리
성형의 불편한 진실…예뻐지는 게 죄?
신체발부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사람의 신체와 터럭,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라는 뜻이다. 흔히 쓰는 말대로 '공자님 말씀'이다. 공자가 2500년 뒤에 환생해 오늘날 대한민국을 둘러본다면 어떤 느낌일까. 황당할까, 아니면 먼 훗날을 꿰뚫어보지 못한 자신의 단견을 한탄할까. 재미있는 상상이다. CNN 등 외신의 표현을 빌리면 한국은 '성형공화국' '성형의 ...
-
경제 기타
60년째 서열 1위…늙어가는 찰스 영국 왕세자
"조심스럽게 살지 않으면 제가 먼저 죽을 것" 영국 찰스 왕세자(65)에 대한 이야기가 화제다. 환갑이 넘도록 왕이 되지 못한 채 60년째 왕위계승 서열 1위만 지키고 있는 '늙은 왕자'에 대한 입방아다. 그렇다고 대놓고 불운하다고 할 수도 없다. 어머니이자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87)가 아직도 건강하니 뭐라고 불평하기도 힘들다. 부모의 건강은 자식의 행복이 아니든가. 찰스 필립 아서 조지(Charles Philip Arthur Georg...
-
학폭 처리 가이드북 배포 등
교과부, 전국 초·중·고교에 학폭 처리 가이드북 배포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사들에게 학교폭력 문제 대처법을 설명하는 '학교폭력 사안 처리 가이드북'을 초·중·고교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가이드북은 '학교폭력 사안 처리 문답집'과 함께 보급되며 학교폭력 사안의 인지, 초기대응, 신고, 접수, 학교폭력전담기구 및 자치위원회 조사, 사법처리절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문답집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관해 교사들이 많이 하는 질문을...
-
경제 기타
북한, 장거리 로켓발사 카운트다운…또 무슨 속셈?
북한이 또다시 장거리 로켓 발사 카드를 꺼내들었다. 북한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대변인은 지난 1일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의 유훈을 높이 받들고 우리나라에서 자체의 힘과 기술로 제작한 실용위성을 쏘아 올리게 된다”며 10일부터 22일 사이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남쪽으로 발사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 4월13일 김일성 주석의 100번째 생일(4월15일)을 기념해 '은하3호'를 쏘아올린 지 불과 8개월 만에 또다시 장거리 로켓...
-
커버스토리
'손 기술' 세계최고라서?…한국은 성형산업 강자
세계 성형시장 규모는 얼마나 될까. 계산이 불가능할 것같은 시장이지만 다행스럽게도 발표된 추정치가 있다. 2011년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ISAPS)가 내놓은 숫자가 단서다. 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세계 성형 시장 규모는 200억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뷰티시장(3300억달러), 다이어트시장(400억달러)보다 작지만 만만치 않은 시장이다. #프랑스보다 한국 시장 더 커 그렇다면 한국 성형시장은 얼마쯤 될까. 협회는 한국 성형시장은 45억...
-
커버스토리
예뻐지고 싶은 건 본능…'얼짱 사회' 마냥 좋을까?
우리나라는 이른바 '성형미인'이 넘쳐나는 나라다. '손볼 곳' 없을 것 같은 연예인들도 TV에 나와서 거리낌없이 자신의 성형 얘기를 늘어놓는다. 성형이 고등학교 졸업선물이 된 지도 오래다. 조금이라도 예뻐지고 싶은 인간의 본능을 탓할 수만은 없지만 한국 사회에서 외모에 대한 집착이 거의 병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성형 찬성론자들은 '외모는 바로 자신감'이라고 강조한다. 본인 스스로 만족스런 외모는 업무는 물론 대인관계에서도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