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19회 테샛 16일까지 추가접수 받습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5월 신록이 점점 짙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학업 성숙도도 계절과 함께 익어가기를 바랍니다. 아! 스승의 날도 이틀 앞으로 다가왔군요. 학창시절을 추억할 수 있는 선생님을 마음 속에 가질 수 있다면 나중에 얼마나 큰 인연이 되겠습니까? 선생님께 성큼 다가가서 존경하는 마음을 꼭 표현하시기 바랍니다. 제19회 테샛과 제6회 주니어테샛 정기접수가 13일로 마감됩니다. 늘 이쯤 되면 추가 접수가 없느냐고 문의해 ...

  • 커버스토리

    300년 역사의 경제학…두 기둥은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

    경제학이 체계를 갖춘지는 300년 정도 된다. 하지만 경제 3대 생산요소인 '토지와 노동 그리고 자본'이 수천년 전 성서(bible)에도 수없이 언급될 정도로 경제학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왔다. 세계의 굵직굵직한 역사적 사건 때마다 경제학이 급격히 발전한 이유다. 산업혁명은 고전학파를, 세계 대공황은 케인스학파를 등장시켰다. 이후 신고전학파와 뉴케인시안 신자유주의 등이 등장하며 이론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그 근간은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로 크...

  • 커버스토리

    긴축이냐 성장이냐…반복되는 세기의 경제 논쟁

    경제이론은 시소를 타는 것과 같다. 경제 상황에 따라 주류가 비주류로, 비주류가 주류로 바뀐다. 이런 와중에 주류를 차지하기 위한 논쟁은 뜨거워진다. 실제로 케인스학파와 고전학파는 위기 때마다 경제학의 주류 자리를 다퉜다. 애덤 스미스 이후 자유주의 경제학의 고전학파가 주류 자리를 유지해오다 1930년대 대공황을 계기로 케인시안에게 바통을 넘겼다. 하지만 케인시안은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주류 자리가 흔들리면서 신자유주의 경제학을 설...

  • 경제 기타

    <107> 하녀들의 수요를 기반으로 형성된 대중문학

    오늘날 문학은 가장 대중적이며 보편적인 문화예술의 장르 중 하나다. 연중 미술관 한번 안가는 사람도, 음악회 한번 안가는 사람도 책 한 권 사서 집에서 틈나는 대로 읽는 사람들은 흔히 목격할 수 있다.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문학을 우리는 흔히 대중문학이라고 하는데, 이런 대중문학은 우리가 일상생활 중에서 가장 쉽게 접하는 문화생활이 되었다. 하지만 19세기까지만 해도 대중문학이라는 장르는 형성되지 못했다. 그것은 음악이나 미술과는 달리 ...

  • 경제 기타

    길고양이 먹이주기 옳을까요

    찬 "모든 생명은 소중…길고양이도 마찬가지" 반 "혐오스러운 길고양이 개체 수만 늘린다" 요즘 주택가나 아파트 주변에 보면 길고양이들에게 먹이를 주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소위 '캣맘'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다. 주인 없는 개나 고양이에게도 최소한의 생존권은 보장해줘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이런 움직임에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도 동참하고 나섰다. 서울 강동구가 '길고양이 급식소'를 만들겠다고 한 것이다. 강동구는 길고양이가 많이 다니는...

  • 경제 기타

    지하에 숨은 돈 양지로?…뜻은 좋은데 결과는 '글쎄'

    지하경제 양성화의 역설 정홍원 국무총리는 7일 “이번 추가경정예산(추경)이 민생 경제의 안정과 경기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한편 강력한 재정지출 구조 개혁과 비과세 감면 정비, 지하경제 양성화 등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가 제출한 17조3000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안이 통과된 직후 이같이 밝혔다. - 5월 8일 한국경제신문 ☞ 세상을 살다보면 좋은 뜻(...

  • 학습 길잡이 기타

    (4) 플라톤의 시인추방론 "모든 시인은 모방자들이다"

    이번 주제는 플라톤의 '시인추방론'입니다. 시인을 추방하자니. 참 엉뚱한 말입니다. 시인만큼 마음이 깨끗한 사람이 어디 있나요.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 나는 괴로워했다 /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윤동주, 서시) 20대 중반인 시인이 바라는 것은 부나 명예가 아닙니다. 부끄럽지 않은 삶과 약자에 대한 사랑뿐이었죠. 맑고 아름다운 마음씨입니다. 시인이...

  • 학습 길잡이 기타

    (4) 인간의 합리성

    ▧'합리적 인간'에 대한 생각 뒤집기 이번 시간에 다뤄 볼 주제는 인간의 합리성이다. 우리는 대개 자신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위해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이러한 '합리성'의 전제 위에서 개인의 삶이 존재하고 사회가 유지된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개인과 사회의 합리성이란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모두가 합리성만을 추구하는데도 비합리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하며, 모두가 옳다고 여기는 '사회적 합리성' 속에서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