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110> 순장은 고대 왕들의 위험 회피를 위한 수단이었다
순장은 고대사회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사망하면 생전에 그를 모셨던 사람들을 함께 묻는 행위를 지칭한다. 순장은 고대의 특정 지역에서만 전개된 기이한 풍습이 아니라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에 이르는 거의 모든 대륙의 고대 문명에서 전개된 특이한 문화적 현상이다. 이렇게 사람을 희생하는 다양한 의식과 제례는 여러 지역에서 수행됐다. 중국에서는 만리장성을 축조하면서 노역자들을 생매장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의 히토바시라와 같은 전설에서도 ...
-
경제 기타
기초단체 정당공천 폐지하는 게 옳을까요
찬 "지방정치의 중앙 예속 막고 비리 줄여" 반 "여성이나 소수 세력 보호를 위해 필요"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두고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의 단체장과 기초의회 선거에서 정당공천제를 없앨 것인지를 둘러싸고 정치권에서 논쟁이 한창이다. 여야 정치권은 지난 18대 대선 과정에서 기초자치단체 선거의 정당공천제 폐지를 공약했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반대론이 커지면서 지금까지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방선거 정당공천제는 기초단체장의 경우...
-
경제 기타
아베노믹스, '부러진 화살' 되나
요동치는 아베노믹스 ' 아베노믹스 '의 여파로 최근 일본 국채 금리(수익률)가 오르면서 '일본 국채발(發) 위기'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일본 정부부채가 감당 불가능한 수준으로 팽창, 일본 재정이 파탄에 이른다는 시나리오다. - 5월28일 한국경제신문 ☞세계경제가 좀체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미국 유럽 영국 일본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돈을 무차별적으로 살포하고 있는데도...
-
학습 길잡이 기타
(7) E.H.카 "역사란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1) 정체성이란 어디서 오나요? 다양한 답이 있죠. 우선 '몸'은 '나'를 이루는 중요 요소입니다. 영화에나 나올 법한 상황을 가정해볼까요? 어제까지 남성이었던 사람이 자고 일어났더니 여성으로 바뀌어 있다고 해보죠. 그가 이전과 동일한 자기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사회적 관계 또한 자기정체성의 중요한 근거입니다. '나'를 알고 기억하는 내 주변 사람들, 가령 부모님이나 친구와의 관계없이 '나'를 이야기할...
-
학습 길잡이 기타
(7) 언어와 관념
▧ 인간은 언어로 사고한다 이번 시간의 주제는 말이나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다. 학생들은 흔히 “생각은 있는데 그걸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라고 말하는데, 매정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그건 생각이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언어를 가지고 사고하기 때문이다. 단어는 단지 사물의 이름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관념이다. 언어의 한계는 곧 생각의 한계를 의미한다. 정리하자면 인간은 언어를 가지고 생각하고,...
-
경제 기타
어려워지는 과학교과서 이대로 괜찮은가? 등
어려워지는 과학교과서 이대로 괜찮은가? “상대성 이론이 고등학교 물리 교과과정 내에 있다는 거 알아?” 일반적으로 상대성 이론은 과학고나 영재고에서도 일반물리라는 교과과정 하에 역학과 파동 등의 이론을 모두 마친 후 배우는 부분이다. 상대성 이론은 개념이 까다로운 터라, 많은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단원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며칠 전, 고교 교과서 물리1 내에 상대성 이론이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
-
경제 기타
"수능 전 갑작스런 성적하락…흔들리지 마세요" 등
[대학생 기고] "수능 전 갑작스런 성적하락… 흔들리지 마세요" '멘붕'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연상되나요? 시험의 연속인 고등학교 시절을 보내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형편없는 점수를 받았던 지난 시험이 떠오르겠지요. 하지만 이러한 난관에 부딪혀 속절없이 무너져버린다면 그 전의 노력들이 얼마나 아까울까요? 저는 제 경험을 예로 들어 '유리멘탈'을 '강화유리'로 만드는 극복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3학년 시절 한 번의 큰 ...
-
커버스토리
황금의 '슈퍼사이클' 막 내리나
불패자산(不敗資産), 위험회피(헤지) 수단, 수많은 전쟁의 불씨, 화폐의 대용품, 부(富)의 상징…. 공통점은 금이다. 누렇게 반짝이며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아온 금은 국부(國富)의 상징으로, 때론 통화의 수단으로 인류의 오랜 역사를 함께 써왔다. 인류는 위기가 감지될 때마다 금을 모아 장롱에 감췄다. '나라의 곳간'인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액에서도 금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2차대전 이후 브레턴우즈 체제에선 통화 가치를 정하는 기준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