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청소년 경제교육이 시급한 이유 등

    청소년 경제교육이 시급한 이유 유교사회가 지배해 온 우리나라는 돈을 밝히는 것이 금기시되었던 나라다. 돈을 밝히는 것은 천박한 행동이며, 손가락질 받는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대 사회가 자본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면서 자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금융이 원인이 된 사회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얼마 전에 일어난 카드회사 개인정보 유출, 신용 불량제 문제, 10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등도 기초적인 ...

  • 학습 길잡이 기타

    홍상수의 맛있는 과학논술 (8) 생물수학

    홍상수 < S·논술 자연계 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 경제 기타

    '아시아 최대 저비용항공' 에어아시아 국내진출 허용은 ?

    말레이시아 국적의 저가항공사인 에어아시아가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에어아시아는 세계 88개 도시에 150개 노선을 운항하는 아시아 1위 저가항공사다. 승객에겐 값싼 티켓으로 유명하지만 항공업계에서는 가격 파괴자로 경계 대상일 수밖에 없다. 토니 페르난데스 회장은 작년 7월 “에어아시아 코리아를 만드는 것은 나의 꿈”이라며 한국 진출 의지를 공식화했다. 단순한 한국 취항을 넘어 한국에 법인을 설립, 동북아 지역 거점으로...

  • 커버스토리

    환율 떨어지면 물가는 안정되지만…수출업체는 채산성 악화로 한숨…적정환율의 딜레마

    통화 가치(환율)는 국제교역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변수다. 통화 가치의 변화, 즉 환율의 등락에 따라 교역 규모 자체는 물론 교역의 채산성(수익성)도 크게 변한다. 수출만을 고려하면 자국의 통화 가치가 약해져야 수출여건이 좋아진다.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자국 통화 가치 끌어내리기’에 신경을 쓰는 이유다. 국가 간 통화전쟁의 핵심도 ‘자국 통화 가치 낮추기’다. 하지만 통화 가치 하...

  • 커버스토리

    브레튼우즈 체제…킹스턴 체제…트리핀 딜레마·J-커브 효과는 뭐야?…복잡한 환율공부, 팍~끝!

    경제학에서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된다. 원론적으로 말하면,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오르고, 수요가 적으면 떨어진다. 공급도 마찬가지로 본다. 환율도 이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환율은 외환 거래량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금본위제란 금화를 직접 사용하거나, 한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금의 양을 기준으로 실제 통화량을 일치시키는 화폐제도를 말한다. 금을 1조원어치 보유하고 있다면 국가의 전체 통화량은 1조원을 넘지 못하는 ...

  • 경제 기타

    제8회 한경테샛 경제리더스 고교캠프를 다녀와서…한지영 대원외고 1학년

    경제학이 오직 경제학자나 경제 분야 전문 종사자를 위한 학문이라는 편견을 버려야 할 때가 왔다. 요즘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도 경제과목은 정규 시간표에 들어 있다. 경제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경제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한다. 지난 17일 동국대학교 경영관에서 ‘제8회 한경테샛 경제리더스 고교캠프’가 열렸다. 이 캠프는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했다. 경제에 대해 조금 더 알고자 하는 고교생 129명이 전국 각지에서 모여...

  • 경제 기타

    도전하세요…생글생글 기자 100명 선발

    한국경제신문은 청소년 경제논술신문인 생글생글에서 학생기자로 활동할 인재를 뽑는다. 선발인원은 고교생 70명, 중학생 30명이다.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 접수는 5월31일에 마감된다. 신청서류는 생글생글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 공지사항에 첨부돼 있으며 연락처 등을 작성한 뒤 이메일( nie@hankyung.com )로 보내면 된다. 신청자격은 없다. 외국에서 유...

  • 경제 기타

    서울대까지도…여전한 콩나물 강의실…100명 초과 강의 100개

    서울대에서 ‘콩나물 강의실’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 100명을 초과하는 대형강의가 이번 학기에 100개를 넘어섰다. 반면에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의 수는 전 학기보다 200개 이상 줄었다. 올 1학기에 개설된 강의 중 수강생이 100명을 넘긴 강의는 123개로 나타났다. 100~200명인 강의는 110개이며 200명 이상인 강의도 13개나 됐다. 100명을 초과한 대형 강의는 2012년 1학기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