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 이야기

    돌파구, 획기적인 발전 'breakthrough'

    Samsung Heavy Industries, a major Korean shipbuilder, has made a breakthrough in its liquefaction technology for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LNG) production facilities, challenging long-standing dominance by US rivals.The technology, known as SENSE IV, is often referred to as the “heart” of the FLNG unit, a massive offshore structure that extracts, liquefies and transfers natural gas from subsea fields. FLNG construction usually costs between 2 trillion won and 4 trillion won per unit, with liquefaction equipment accounting for as much as 35% of that figure.Despite Korea’s dominance in shipbuilding, critical components such as LNG liquefaction systems have long been supplied by US and European firms, including North Carolina-based engineering firm Honeywell International.With SENSE IV, Samsung Heavy is aiming to break that reliance.삼성중공업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FLNG) 생산 설비용 액화 기술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오랫동안 이 분야를 장악해온 미국 경쟁사들에 도전장을 내밀었다.SENSE IV로 알려진 이 기술은 FLNG 설비의 ‘심장’으로 불리며 해저 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추출해 액화한 뒤 이를 육상으로 이송하는 거대한 해상 구조물의 핵심 장비다. FLNG 설비 건조에는 통상 한 기당 2조 원에서 4조 원 비용이 들며, 이 중 액화 장비가 최대 35%를 차지한다.한국은 조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그동안 LNG 액화 시스템과 같은 핵심 부품은 미국과 유럽 기업, 특히 노스캐롤라이나에 본사를 둔 허니웰 인터내셔널 등에 의존해왔다.삼성중공업은 SENSE IV 기술을 통해 이러한 의존도를 줄일 계획이다.  해설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조선 강국입니다. HD현대,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세계적인 조선 회사들이 있지요. 원유, 석유제품 등을 운반하는

  • 영어 이야기

    가뭄 끝에 단비 'blessed rain after a drought'

    SK On has landed a deal to supply nearly 100 gigawatt hours (GWh)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to Japanese carmaker Nissan Motor Co. The Korean company, also the world’s fifth-largest battery maker, announced that it will supply Nissan with 99.4 GWh of high-performance, high-nickel batteries from 2028 to 2033.Considering that the battery cells were recently sold at $104 per kilowatt hour (kWh), the total order value is estimated at 15 trillion won ($10.3 billion). The batteries, enough to power 1 million midsize EVs, are expected to be manufactured in SK On’s new plant in the US state of Kentucky, which is set to embark on mass production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The deal comes as blessed rain following a drought to the money-losing Korean battery maker amid the protracted global EV chasm, or EV’s stalled transition to a mainstream auto segment.SK온이 일본 닛산자동차에 100GWh에 달하는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세계 5위 배터리 제조업체인 SK온은 2028년부터 2033년까지 닛산에 총 99.4GWh 규모의 고성능 하이니켈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최근 배터리 셀 가격이 kWh당 104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계약 규모는 약 15조원(103억 달러)으로 추정된다. 중형 전기차 약 100만 대에 들어가는 물량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켄터키주에 새로 지은 SK온 공장에서 대량 생산할 예정이다.이번 계약은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침체로 손실을 겪고 있던 SK온에 가뭄 속 단비 같은 희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해설대표적인 친환경차인 전기차는 자동차 회사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전기차로의 전환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전기차 수요가 기대만큼 빠르게 증가하지 않아 전기차 제조사는 물

  • 영어 이야기

    고급 맞춤옷, 럭셔리 패션 'haute couture'

    Until recently, it was not unusual to see people waiting in a long line in front of foreign haute couture brands’ stores early in the morning in South Korea, but that is not an ordinary scene anymore in a country where a taste for luxury was long seen as an appetite that would die hard.Koreans’ credit card transactions of goods of upscale fashion brands under French multinational luxury group Kering were estimated at 38.1 billion won in February, down 10.3% from the same month last year.The total sales amount of Gucci, Balenciaga, Bottega Veneta, Brioni and Boucheron marks the lowest monthly sales of Kering brands in Korea since 2018.Monthly card transactions of 17 LVMH brands, including Louis Vuitton and Givenchy, also fell 4.2% to 146 billion won over the same period.Card transactions of Dior, Burberry and Chanel goods retreated 24.8%, 22.4% and 8.4% year over year, respectively.최근까지만 해도 한국에서는 외국 명품 브랜드 매장 앞에 이른 아침부터 길게 줄을 서 있는 사람들을 보는 것이 흔한 일이었지만, 더 이상 그런 장면이 일상적이지 않다. 오랫동안 명품에 대한 욕구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 같던 나라에서 말이다.프랑스 명품 그룹 케링 산하 브랜드인 구찌·발렌시아가·보테가 베네타·브리오니·부쉐론 제품의 지난 2월 국내 신용카드 매출액은 약 38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이후 케링 산하 브랜드의 국내 총 월간 매출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루이 비통, 지방시 등 17개 브랜드를 보유한 LVMH 그룹의 카드 매출도 같은 기간 1460억 원으로 4.2% 감소했다.이 외에도 디올, 버버리, 샤넬 카드 매출은 각각 24.8%, 22.4%, 8.4% 감소했다. 해설 한국은 세계 주요 명품 시장 중 하나입니다. 한때 부유층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명

  • 영어 이야기

    시도해 보다 'give it a shot'

    South Koreans are flocking to bookstores to snap up 2024 Nobel laureate Han Kang’s novels, making her books bestsellers after she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The craze for Han Kang’s books is reinvigorating the book market in South Korea, whose citizens log the most hours on YouTube worldwide.Han Gang’s print book sales skyrocketed by 2,240 times to 310,000 copies until Oct. 13 after she was awarded the distinguished prize on Oct. 10, according to online bookstore Yes24. The figure compares to her book sales over the same period last year.Thanks to the unexpected boom, some printing houses are running factories all day.Some readers said they were unfamiliar with her writing style, especially the way she describes violent scenes, and found them hard to digest due to their heavy subject matter.Readers are now giving these books another shot.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소설들이 베스트셀러로 떠오르며, 한국 독자들이 서점으로 몰려들고 있다.한강 작품에 대한 열풍은 유튜브 시청 시간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한국 출판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온라인 서점 예스24에 따르면, 10월 10일 한강 작가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 10월 13일까지 그녀의 종이책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려 2240배 증가한 31만 부를 기록했다. 예상치 못한 인기로 일부 인쇄소는 공장을 하루 종일 가동하고 있다.일부 독자는 그녀의 폭력적 장면 묘사나 무거운 주제 때문에 문체가 낯설고 받아들이기 어렵게 느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독자들은 한강 소설 읽기에 다시 도전하고 있다.해설한국은 전 세계에서 휴대폰으로 유튜브를 가장 많이 시청하는 나라입니다. 2024년 11월 기준 한국인은 한 달에 평균 43시간 30여 분가량 휴대폰으로 유튜브를 시청한다고 합니다. 이는 전

  • 영어 이야기

    공장 가동을 시작하다 'come online'

    Under the agreement, SK Pharmteco will supply GLP-1 drugs over more than five years, becoming the first South Korean company to win an order for glucagon-like peptide-1 in short supply worldwide. The order is estimated at 1 trillion-2 trillion won, more than twice SK Pharmteco’s annual sales of around 900 billion won.To expand its GLP-1 obesity medication supply, SK Pharmteco in October said that it would build a peptide drug plant in Sejong, South Korea’s administrative capital, with an investment of $260 million. It is expected to come online in 2026 and generate 200 billion-400 billion won in sales annually, starting in 2027.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SK팜테코는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최대 2조원(14억 달러) 규모의 비만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수주했다.이번 계약에 따라 SK팜테코는 5년 이상 GLP-1 치료제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GLP-1 치료제의 수주를 따낸 첫 번째 한국 기업이 되는 의미 있는 성과다. 이번 수주 규모는 1조~2조 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SK팜테코의 연간 매출 9000억여원의 2배 이상에 해당하는 수준이다.GLP-1 비만 치료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SK팜테코는 지난해 10월 2억6000만 달러를 투자해 세종시에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해당 공장은 2026년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7년부터 연간 2000억~4000억원의 매출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설비만 치료제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GLP-1 계열 바이오 의약품의 등장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은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GLP-1 치료제는 원래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했으나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가시켜 뛰어난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제조 공정이 복잡하

  • 영어 이야기

    전력을 다하다 'Go all out'

    Korean Air unveiled its new brand typography, “KOREAN AIR,” in a cleaner and more contemporary font in a solid navy color. The “KOREAN” on the fuselage is almost twice as big as the previous version.The new badge retains the iconic taegeuk, the traditional Korean symbol that has represented the airline since its founding, but now features a sleeker and more modern design.With Asiana Airlines under its wings, the No. 1 Korean flag carrier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11th largest airline by annual passenger volume. It will also operate a total of 238 aircraft and employ some 27,000 staff.“My heart was heavy with responsibility rather than joy when the final EU approval came through,” said Chairman and CEO of Korean Air Cho Won-tae. “As we are poised to become global No. 11, we will go all out to become an airline that is fully embraced by our customers.”대한항공이 새롭게 선보인 로고는 이전보다 깔끔하고 현대적인 서체와 짙은 푸른 색상을 사용했다. 기체에 표기된 “KOREAN” 글자는 이전 버전보다 거의 두 배 커졌다.새로운 로고는 한국의 전통적 상징이자 대한항공 창립 이래 항공사를 대표해온 태극 문양의 원형을 보존하되 더욱 세련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대한항공은 연간 여객 수송량 기준 세계 11위 규모의 항공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총 238대의 항공기를 운영하며 직원 2만7000여 명을 고용하게 된다.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은 “최종적으로 EU의 승인을 받았을 때 기쁨보다 막중한 책임감이 더 크게 다가왔다”며 “세계 11위 항공사로 도약하는 만큼 고객에게 사랑받는 항공사가 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해설지난해 대한항공은 30여 년간 경쟁사였던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 영어 이야기

    선두 또는 중심에 있을 땐 'at the forefront'

    South Korea’s grocery delivery platform Oasis Corp., which has been looking to expand its e-commerce market at home and abroad, is seeking to buy TMON Inc., which has been placed under court protection. It is now at the forefront to acquire TMON.TMON, Korea’s first-generation e-commerce player famous for its low-price marketing strategy, filed a motion with the Seoul Bankruptcy Court on Tuesday to request the designation of Oasis as its initial bidder.TMON and its sister e-commerce platform WeMakePrice Co. have been in negotiations with multiple potential buyers of their businesses since their business faltered last July due to delayed payments to vendors.They have been under court management since last summer and looking to find a new owner. After it failed to find the right suitor, Oasis has approached them with an offer to buy TMON.국내외 전자상거래 시장 확장을 모색해온 한국의 식품 배달 플랫폼 오아시스가 법정관리 중인 티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오아시스는 현재 티몬 인수 경쟁에서 선두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국의 1세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저가 마케팅 전략을 펼친 것으로 잘 알려진 티몬은 지난 화요일 서울회생법원에 오아시스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티몬과 자매사인 위메프는 지난 7월 공급대금 지연 문제로 경영이 어려워진 여러 잠재적 구매자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두 회사는 지난해 여름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후 새로운 인수 희망자를 찾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적절한 인수자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오아시스가 티몬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설우리나라 전자상거래(e-commerce) 시장은 1990년대 중·후반 인터넷 보급이 확대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파크, 옥션, G마켓 등의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면서 온

  • 영어 이야기

    매장을 확대한다고 표현할 땐 'ramp up'

    Using multiple measures, CU and GS25 both claim they are the No. 1 player in South Korea’s convenience store market.CU, operated by BGF Retail, says it is the top Korean convenience store chain in terms of store count and profitability. Meanwhile, GS Retail, the operator of GS25, asserts it is Korea’s No. 1 in terms of sales.CU has created and positioned mobile convenience stores at regional festivals and sporting events more than 20 times this year.The mobile stores, in the form of a modified 3.5-ton truck, sell products such as snacks, drinks and portable batteries in areas that lack convenience stores.In partnership with domestic pizza franchise GoPizza GS Retail opened stores where customers can pick up or order pizza for delivery.There are currently about 1,000 such locations and GS25 plans to ramp up those stores to 1,500 by the end of the year.CU와 GS25는 각각 다양한 기준을 근거로 한국 편의점 시장에서 자신들이 1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는 점포 수와 수익성 면에서 한국 최대의 편의점 체인임을 강조한다. 반면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는 매출액 기준으로 국내 1위 편의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CU는 올해 지역 축제 및 스포츠 행사에서 20회 이상 모바일 편의점을 운영하며 시장 확장에 나섰다. 모바일 편의점은 3.5톤 트럭을 개조한 형태로, 편의점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스낵·음료·휴대용 배터리 등 필수 상품을 판매한다.GS리테일은 국내 피자 프랜차이즈인 고피자와 협력해 고객들이 매장을 직접 방문해 피자를 주문하거나 배달로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매장을 출시했다.현재 이러한 매장은 약 1000곳에 달하며, GS25는 연말까지 매장 수를 15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해설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유통업체 매출 현황’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