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화면 더 크고 선명하게 .. 두께 더 얇게
"한국이 오랜 숙적인 일본을 물리쳤다. 이에 일본은 바다 건너 대만과 손잡고 한국을 공격한다. 일본·대만 연합은 힘이 부치자 중국을 새로운 우군으로 삼았다." 언뜻 보면 광개토대왕비에 나와 있는 비문의 한 구절 같다. 하지만 이는 최근 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PDP(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O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이어지는 디지털TV 시장 주도권을 두고 한국 일본 대만이 벌이고 있는 풍경이다. 최근 들어 한국.일본.대만 간 디스플...
-
경제 기타
세계 LCD.PDP 절반은 한국기업 제품
디스플레이의 주요 제조 국가는 모두 아시아에 몰려 있다. 한국 일본 대만 3국이다. 중국이 새로 가세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경쟁은 한국·일본·대만 3각 축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1차 디스플레이 전쟁은 일단 삼성 LG의 한국 진영이 우세하다. 일본은 LCD,PDP,OLED 등을 가장 먼저 개발하고도 특유의 조심성 때문에 매번 대규모 투자 시기를 놓쳐 한국에 주도권을 뺏겼다. 반도체를 만들면서 대규모 적기 투자의 중요성을 체득한 한국 기...
-
경제 기타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한국이 '최강'
LCD,PDP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한번 투자 기회를 놓치면 좀체 만회하기 어렵다. 특히 LCD는 1개 라인을 세우는 데 무려 2조∼3조원의 엄청난 자금이 들어가는 대규모 장치산업이라 투자 시기가 경쟁력의 핵심이다. ◆일본 업체,구조조정의 회오리 속으로 한국에 덜미가 잡힌 일본 업체들은 구조조정의 회오리를 맞기 시작했다. 일본의 NEC는 중국으로 눈을 돌렸다. 2003년 6월 중국의 SVA와 손잡고 SVA-NEC 합작회사를 상하이에 설립...
-
경제 기타
日, 亞 외환위기때 투자 유보한 것이 패착
한국이 디스플레이 생산량과 전 세계 시장점유율에서 일본을 제친 데는 적극적 투자 못지않게 일본의 오판도 크게 작용했다. 2002년까지 일본은 LCD,PDP 분야에서 세계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절대강자였다. LCD는 1990년 일본의 샤프가 세계 최초로 양산을 시작했다. 삼성전자 LG필립스LCD보다 무려 5년이 빨랐다. PDP도 한국보다 3년 빠른 98년부터 마쓰시타,파이어니어,후지쓰 등 일본 간판기업들이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삼성...
-
진학 길잡이 기타
언ㆍ수ㆍ외ㆍ탐 표준점수 488점‥ 경영학과 희망
'생글생글 Young 한국경제신문'에서는 복잡해진 대학입시와 대학마다, 계열마다 다른 전형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는 수험생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전문가의 입시상담 컨설팅 코너를 마련합니다. 대입 컨설팅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김영일교육컨설팅(주) 김영일 소장이 상담을 전담합니다. 상담을 받고 싶은 학생은 e메일(consulting@01consulting@co.kr)로 보내주세요. 이름과 나이, 학교, 학년, 계열, 학생부 성적과 ...
-
진학 길잡이 기타
(14) 우주개발 새 주인공은 청소년
1957년 10월 4일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1961년 4월12일 인류 최초의 유인우주비행 성공,그리고 1969년 7월20일 인류 최초의 달착륙으로 이어지는 우주개발의 역사는 우주 선진국들에 의해 쓰여졌다. 여기에 최근 두 차례에 걸친 유인 우주비행의 성공으로 중국이 미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등과 함께 우주 선진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들 선진국의 반세기에 걸친 우주개발 역사에 비해 우리나라는 그 역사가 짧다. 그러...
-
28. 표본의 크기와 대표성
표본의 크기,즉 몇 개의 표본을 뽑아야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표본의 수가 너무 적다면 모집단에 대한 잘못된 추정을 하기 쉽고,반대로 표본의 수가 필요 이상으로 많으면 시간과 비용을 쓸데없이 낭비하는 것이 된다. 그러면 적당한 표본의 크기를 좌우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그 기준은 모집단이 얼마나 다양한가(variability)와 조사가 어느 정도의 정확도를 요구하는가에 달려 있다. 피검사의 예를 들어 보자.의사는 ...
-
28. 논술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1)
대입 논술 문제는 제시문이 주어지는 형태를 취한다. 이것은 제시문에 充實해서 정확하게 독해하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제시문에서 추출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자신의 이해력과 해석,논리적 연결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따라서 제시문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제시문을 정확하게 理解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사람들에 따라 논란의 여지도 있을 수 있겠지만,분명한 것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이 도움이 된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