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제16회 논제 : 세력간의 연합
▶ 학생글 : 김민수 (한국외대부속외고 2학년) [논제1] 두 제시문은 공통적으로 강자와의 세력 연합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논제2] ① <가><나>에서 제창하듯이 역사적으로 강자와의 연합은 결국 강자에 의해 예속됨을 의미했다. 그러나 강자의 힘에 의해 약자가 좌지우지된다는 주장은,극단적으로 <가>의 동물 세계의 각축전이나 <나>의 전쟁이 난무하던 중세 시대에서나 볼 수 있는 ...
-
진학 길잡이 기타
공학계열 지원하고 싶은데 어느 대학에 가야할지…
공학계열 지원하고 싶은ㄴ데 어느 대학에 가야할지… Q 주혜란 학생은 충남지역 일반고 자연계열 3학년 학생입니다. 올해 수능 가채점 성적은 언어 93점,수리 가형 78점,외국어 92점,물리Ⅰ 35점,화학Ⅰ 37점,화학Ⅱ 36점,생물Ⅰ 39점입니다. 3학년 1학기까지 학생부 주요 교과(국어·영어·수학·과학) 평어 성적은 1학년 4.5점,2학년 4.6점,3학년 4.2점이고,전 교과의 평어는 1학년 4.6점,2학년 4.4점,3학년 4.2점입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13. 법(Mood) ② 기타 가정법
'I wish' 'as if' 'as though'도 가정법 1. 'I wish' 가정법 'I wish' 가정법 역시 지난 회에 살펴본 'If 가정법'과 구조가 같다. 다시 말해서 소망하는 시점과 소망 내용의 시점이 일치하면 가정법 과거를,소망하는 시점보다 소망 내용의 시점이 한 단계 과거이면 가정법 과거 완료를 쓴다. I wish I were rich enough to buy it. (내가 그것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부자...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2월 4일자
1. 전북 익산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사례가 발견됐다. AI가 우리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국내 치킨업체들의 매출 감소 ②돼지고기와 같은 대체재 수요 증가 ③양계업자들의 수익 증가 ④국산 닭·오리 수출 차질 2. 올 가을은 기온이 평균 수준을 웃돌면서 사실상 겨울도 예전보다 늦게 오는 현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단풍이 늦게 물들어 관광지 수익 감소 ②간절기 의류 매출 증가 ③난방...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헨리 어니스트 더드니의 그림퍼즐
이번 주는 쉽고 재미있는 그림퍼즐입니다. 퍼즐 학자인 헨리 어니스트 더드니가 낸 문제인데요,아래 그림을 보면 집 세 채와 가스·전기·수도 회사가 각각 있습니다. 세 회사에서 각각 세 집에 가스파이프와 전기선,수도파이프를 연결하려고 하는데요. 한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선이나 파이프가 절대 교차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선이나 파이프의 길이나 모양은 상관이 없습니다. 교차하지 않고 세 개의 선을 각각의 집에 연결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9) 교도관 속이기
이번에 새로 만들어진 어느 감옥은 네모난 기둥 둘레에 층마다 8개씩 감방이 배치되어 있는데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벽 하나에 감방이 3개씩 붙어 있습니다. 그리고 감방마다 3명의 죄수가 수감되어 층마다 모두 24명의 죄수가 있습니다. 어느 층에서나 같은 벽에 붙어 있는 감방의 죄수들끼리는 자유로이 왔다갔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한 방에 죄수가 3명이 아닐 때도 있습니다. 이 감옥의 교도관들은 그들이 맡은 죄수들을 쉽게 확인하기 위...
-
커버스토리
경제활력 잃으면 양극화 심해진다
"왜,잘 사는 사람은 더 잘 살고,못사는 사람은 더 못사는 것일까?" "우리 사회는 정말 잘 사는 20%와 못사는 80%로 나뉜 것일까?" 요즘 우리가 당면한 최대의 사회문제가 바로 양극화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참여정부는 서민들을 위한 정부를 표방하고 서민대책을 펴왔다고 자부하는데 결과는 오히려 정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양극화는 피할 수 없는 세계의 흐름인가,해법은 없는 것인가? 우리 사회의 양극화 징후는 곳곳에서 드러난다. 서울과...
-
경제 기타
한국은행 집값안정 위해 발벗고 나섰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회의를 열어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예금의 지급준비율을 현행 5%에서 7%로 올리기로 했다. 반면 장기주택마련저축 근로자우대저축 등 장기저축성 예금에 대해서는 지급준비율을 현재 1%에서 0%로 인하했다. 바뀐 지급준비율 제도는 오는 12월23일부터 적용된다. 지급준비금이란 시중은행들이 고객들로부터 받은 예금의 일정비율을 중앙은행에 맡기는 자금을 말한다. 원래 고객예금 보호를 위해 도입됐으나 중앙은행의 통화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