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15, 껍질과 껍데기 : 껍질은 깰 수 없다

    '조개 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불가에 마주 앉아 밤새 속삭이네/저 멀리 달그림자 시원한 파도소리/여름밤은 깊어만 가고 잠은 오지 않네….' 1970년대 말 대학가에서 많이 불렸던 윤형주 작사·작곡의 '라라라'(일명 '조개 껍질 묶어')의 노랫말이다. 3절까지 이어지는 이 노래는 특히 농활(농촌 봉사활동)이나 MT 같은 데서는 당시 유행하던 포크댄스와 함께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그런데 따라 부르기 쉽고 감미로운 노랫말로 폭발적인 인기...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월 29일자

    [1] 겨울철 이상 고온으로 매출에 타격을 받을 업체가 아닌 것은? ①한국가스공사 ②스키장 ③원유정제회사 ④아이스크림 업체 [2] 다음 보기에서 크라우드소싱과 가장 근접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①프로슈머 ②블루슈머 ③메트로섹슈얼 ④오프쇼어링 [3] ( )포럼은 세계를 이끌어가는 정치와 경제,정부,언론의 리더들이 스위스 휴양지 ( )에 모여 지구촌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로,본래 명칭은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

  • 커버스토리

    달러의 경제학

    달러의 역사는 20세기 이후 세계 금융·통화의 역사와 거의 일치한다.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인 미국의 돈이란 점에서 세계경제의 가장 기본적인 통용수단이기도 하다. 세계 어디를 여행하든 달러만 있으면 별 문제가 없다. 그래서 세계에서 위조지폐가 가장 많이 발견되는화폐도 미국 달러화이다. 국가의 부(富)나 국민소득을 재는 척도가 달러이고, 제3국과의 수출입 대금 결제도 대부분 달러로 이뤄진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겪은 것은 바로 달러가 부...

  • 경제 기타

    현대자동차 파업 타결 … 정상조업

    노사간 극한 대립과 갈등을 불러온 현대자동차 파업사태가 17일 오후 극적 타결됐다. 이에 따라 노조는 이날 야간조부터 정상조업에 들어갔다. 현대차 노사는 이날 그동안 노사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했던 성과급 지급과 관련, 노조가 2007년 2월 말까지 2006년 사업계획 대비 생산목표 미달 대수와 2007년 1월 생산목표 미달 대수를 만회하는 시점에 목표 달성 격려금으로 50%를 주는 '조건부 성과급'지급에 최종 합의했다. 회사는 그러나 박유...

  • 경제 기타

    제2회 한경ㆍ인송 장학생 신청받습니다

    생글생글 Young 한국경제신문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제 2007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이 거의 끝이 났습니다. 3학년들은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2학년들은 3학년 선배들이 사용하던 교실로 곧 자리로 옮겨 내년도 입시를 준비해야지요. 모두 좋은 결실,좋은 출발이 있기를 바랍니다. 지난해 가을 제1회 한경·인송 장학생을 선발했던 인송문화재단과 한국경제신문은 제2회 장학생 50명을 다음달 선발합니다. 학업 성적이 우수하지만 가정형편이 넉넉...

  • 경제 기타

    1만원ㆍ1000원권 새로 나온다 外

    ⊙1만원ㆍ1000원권 새로 나온다 크기가 작아지고 색상은 밝아진 새 1만원권과 1000원권이 22일부터 시중에 공급된다. 일반인들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 창구나 ATM 등을 통해 새 지폐를 접할 수 있다. 새 1만원권은 현재보다 가로 세로가 각각 13㎜, 8㎜씩 축소되며, 1000원권의 크기 역시 현재 유통중인 것보다 가로 15㎜, 세로 8㎜가 줄어든다. -화폐 디자인이 최근 많이 바뀌네요. 지난해 1월에는 5000원권이 새로 나왔지요. 한...

  • 경제 기타

    여러분도 좋아하죠? 홍콩이 '비'에 젖었다

    한국의 가수 '비'가 홍콩을 열광시켰다. '비'는 지난 12∼14일 밤 홍콩의 아시아 월드엑스포 아레나에서 열린 '월드투어' 홍콩 공연에서 열정적인 노래와 춤으로 총 3만5000여명의 관중을 사로잡았다. 화려한 무대장치와 현란한 안무,힙합 및 비트,북소리와 취권 안무 등 동·서양을 넘나드는 볼거리에 관객들은 눈을 떼지 못하고 빠져들었다. 지난달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두 차례 공연이 매진된 데 이어 세 차례 홍콩 공연도 만석이었다. 공연이...

  • 커버스토리

    각국 통화가치는 달러로 환산 … '돈의 도량형'

    미국 달러화는 세계의 기축통화다. '기축(基軸)'이란 중심축을 가리키는 말이다. 유로화나 엔화도 기축통화 대접을 받지만 그 위상은 여전히 달러에 훨씬 못 미친다. 달러화는 '통화 위의 통화'가 됐고 돈을 환산할 수 있는 모든 가치를 표시하는 수단이 됐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미국이 통화·금융의 헤게모니(주도권)를 쥐면서 오늘날과 같은 달러화의 위상을 갖게 된 것이다. 각국의 돈값(통화가치)을 의미하는 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