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6) 수능 본 학생에게 … '무엇'을 할지 방향을 정하자

    Q .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번에 수능을 치른 고3 여학생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제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해 수능시험을 치렀지만 수능이 끝나고 나니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수능점수 발표일인 12월13일까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A . 먼저 학생에게 수능시험을 치르느라 수고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지난 초.중.고교 12년 동안 공부한 것을 단 하루 만에 평가를 받으려니 너무 힘들었지요? 약간의 휴식을 취하면서 곧 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 어린아이들에겐 대부분 나쁜 습관이 있기 마련이다. ② 아이들에게 벌을 주어야 나쁜 습관을 고칠 수 있다는 생각은,자동차에 벌을 주어야 고장난 곳을 고칠 수 있다는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으며 역효과만 불러일으킬 뿐이다. ③ 자동차가 안 움직일 때 '이 나쁜 자동차야,움직일 때까지 휘발유를 주지 않겠다'라고 하지 않고 어디가 고장났는지를 찾아내서 고쳐보려 한다. ④ 자동차를 다루면...

  • 학습 길잡이 기타

    7. 단어의 변신 : 'ㄹ' 받침 … 옥에티 "거치른 벌판으로~"

    '거치~른 벌판으로 달려가자. 젊음~의 태양을 마시자….' 이 노랫말은 1980년대 대학가에서 히트한 가요 '젊은 그대'의 첫 부분이다. 2004~2005년에 걸쳐 한 보험회사에서 내보낸 광고에도 선보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영화배우 최민식이 축 처진 친구의 어깨를 치면서 힘내라고 불러주는 장면이 인상 깊은 광고다. 그런데 이 노랫말에는 옥에티가 있다. 그것은 바로 '거치른'이다. (여기에서 '옥에티'라 한 것은 순수하게 어법적 측면에서 봤을...

  • 학습 길잡이 기타

    대포차의 탄생

    '대포 한잔 하시죠!' 최근 한 주류업체에서 '대포'라는 상표의 술을 내놓아 화제가 되고 있다. 대폿잔,대폿술,대폿집,왕대포 따위로 쓰이는 이 '대포'는 한때 삶의 무게에 지친 서민들을 달래주던 술이다. '대포'는 '큰 술잔 또는 큰 술잔으로 마시는 술'을 가리키는 말이다. 산업화가 일던,개발연대의 시절에 퇴근길 골목 한 귀퉁이 허름한 선술집에서 우리네 아버지들은 막걸리 한 사발,조금 나으면 청주 한 잔 받아놓고 일상의 애환을 털어냈다. 대...

  • 경제 기타

    (기자 수첩) '쌩얼'에 도전해보자

    온갖 화장용품들이 쏟아져 나온다. 학생들의 파우치 속에서다. 쉬는 시간,거울 앞에서 무언가를 열심히 바르고 있는 학생들. 화장도 간단히 끝나는 것이 아니다. 에센스 수분크림에서 시작해 볼터치까지,쉬는 시간뿐만이 아니다. 수업 중에도 선생님의 눈을 피해 화장품을 바르는 학생들이 있다. 에이블씨엔씨의 미샤를 시작으로 거리에는 갖가지의 화장품 체인점들이 하나둘 들어섰다. 더페이스샵 스킨푸드,최근에는 에뛰드하우스까지.기존 화장품과는 달리 저렴...

  • 경제 기타

    '결핵퇴치 실' 이대로 좋은가

    지난 9일 대한결핵협회는 전국의 학교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크리스마스 실 판매를 개시했다. 올해로 54년째 이어지고 있는 실 모금운동은 결핵협회에서 결핵 퇴치 기금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전개하는 최장기 모금활동 중 하나이다. 그런데 사랑의 상징이었던 실의 의미가 퇴색하고 있다. 실 판매가 반강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메일도 휴대폰 문자메시지에 밀려나는 세상에 누가 실을 붙여가며 우편을 씁니까?...

  • 경제 기타

    열린 마음 가져야 글로벌 리더

    "열린 마음을 가져라!""디자인 싱킹을 하라!""항상 즐기며 살아라!" 세계 석학들이 한국 학생들에게 주문하는 글로벌 리더의 조건이다. 지난 8~11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서 열린 글로벌 인적자원포럼 2006에서 장 로베르 피트 소르본대 총장 등 석학들은 청소년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열린 자세를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사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등이 주관한 이번 대회에는 국내외 저명 인사 1000여명이 참가,인...

  • 교양 기타

    (18) 임마누엘 칸트 '도덕 형이상학 원론'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년) 1724년 동프러시아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가난한 집안의 9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다. 평생 결혼도 하지 않고 가난하게 살았지만 뒤늦게 50대에서야 모교인 쾨니히스베르크대학 교수가 되어 80세에 죽을 때까지 철학사에 남을 대저작들을 남겼다. 칸트는 데카르트에서 시작한 합리론과 베이컨에서 시작된 경험론을 종합,철학적 사유의 새로운 한 시대를 열었다. 그의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