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학 길잡이 기타

    이색대학ㆍ이색학과 찾아보자 … 한국폴리텍대학

    기능대학ㆍ직업학교 통합 … 취업률 높고 등록금 저렴 공공 직업훈련을 전담해온 기능대학과 직업전문학교 등 총 43개 기관이 4개 특성학과 7개 지역거점대학으로 통합돼 11개 한국폴리텍대학(Korea Polytechnic Colleges)으로 새단장을 했다. 폴리텍대학은 호주,영국,독일,싱가포르 등에서 운영되는 '종합기술전문학교'라는 뜻이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직업교육 훈련기관으로 4개의 특성화대학(여자,바이오,항공,섬유패션)과 권역별로 한국폴...

  • 경제 기타

    연초부터 증시에 '테마주' 바람 거세네

    'UCC(사용자제작콘텐츠),인터넷(IP) TV,윈도비스타,풍력과 자원개발,로봇과 나노,바이오디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이후 증시를 휩쓸고 있는 '테마'들이다. 이들 테마와 관련된 종목들(테마주)은 급등세를 보이는 등 연초부터 주목을 끌고 있다. 때문에 테마주에 편승해 종목을 고르는 투자자들도 부쩍 늘고 있다. 증시에서 테마주에 대한 시각은 엇갈린다. 무미건조한 증시에 '활력소'가 된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가 하면,근거 없는 폭등세를...

  • 교양 기타

    (25) 박제가 '북학의(北學議)'

    "중화 사대주의 버리고 청나라 실용문을 배우자" 고전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한 권의 책이 있다. 박제가의 『북학의』이다. '북학(北學)'이란 북쪽의 학문 즉,청나라의 학문을 뜻하며 '의(議)'는 논의한다는 뜻이다. 박제가에게 청나라는 좋은 법과 아름다운 제도 및 훌륭한 기술을 두루 갖춘 문명의 본고장이었다. 연암 박지원은 『북학의』 서문에서 중국 문물을 배우려는 박제가의 세심한 관찰력과 속 깊은 헤아림을 솔개와 개미의...

  • 학습 길잡이 기타

    18. 일치(Agreement) (하)

    a number of → 복수동사 the number of → 단수동사 ♣ 주주어가 동사 뒤로 가는 구문의 일치에 주의하자. 일반적인 영어 문장의 순서는 '주어+동사'이지만,주어가 동사 뒤에 나오는 특별한 경우가 있다. 이런 도치구문들에 있어서도 역시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대표적으로 다음의 경우를 꼭 기억해 두자. 1. 'There + 동사 + 주어' 문장에서의 수일치 2. 부사구가 문두에 나오는 경우 3....

  • 경제 기타

    생명보험회사 상장 이번엔 성사될까요?

    → 한국경제신문 1월8일자 A1면 생명보험사들이 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생보사 상장자문위원회는 1년간의 검토를 거쳐 생보사 상장안을 확정,증권선물거래소에 제출했다고 7일 발표했다. 자문위원회는 최종안에서 생보사를 상호회사가 아닌 주식회사로 규정했으며,과거 보험계약자들에게 충분히 이익을 배분한 만큼 주식이나 현금으로 상장 차익을 계약자에게 나눠줄 필요가 없다고 못박았다. 또 삼성·교보생명의 자산재평가 적립금 가운데 내부유...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월 15일자

    1.은행 등 금융회사가 사회간접자본 등 특정사업의 사업성과 장래의 현금 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Project Financing ② SOC ③ ABS ④ Plant Maker 2.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뒤,원금을 갚지 않고 매달 이자만 납부하는 기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상환 기간 ② 거치 기간 ③ 원리금 보존 기간 ④ 잔존 기간 3.2005년 법원에 개인파산을 신청한 사람은 12만2608명으...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4) 푸른 상공에서의 공중급유기 활약

    전략·전술적인 목적과 많은 연료소비 및 항속거리의 연장을 필요로 하는 제트기의 특성상 비행 중 연료의 보급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공중급유기'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즉 전투기가 원거리 공격작전을 행할 때 1,2개의 경유지에서 연료를 보급한 뒤 이동해야 하는 경우 시간적·작전적 측면에서 많은 장애 요소가 따르게 되는데,공중급유기는 바로 이러한 장애 요소를 해결함으로써 전투기의 체공시간을 연장시켜 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최초의 공중급유는 1...

  • 커버스토리

    noblesse oblige ‥ 새해 좋은 사회를 위하여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의무 다해야 우리 속담에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말이 있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솔선수범해야 아랫사람이 뒤따른다는 뜻일 것이다. 서양에서는 이를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라고 표현한다. 사회의 각종 특권을 누리던 '귀족'들이 국가 위기상황에서 '의무'를 남보다 먼저 수행하는 전통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고대 로마의 귀족들로부터 비롯됐다. 전쟁이 벌어지면 사회적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