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낙태를 둘러싼 성(聖)과 속(俗)의 '기나긴 전쟁'
"기독교의 생명 윤리 위배" vs "사회·경제적 불가피" 인구폭발 산아제한… 저출산 낙태금지… 시대따라 변해 ⊙ 그리스로마와 기독교 동방박사에게서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는 정보를 얻은 헤로데왕은 아기예수를 제거하기 위해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두 살 이하 남자 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라고 명령한다. 마태오 복음서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이 전승은 역사적 사실 여부를 떠나 적어도 당시 로마에서 행해지던 영아살해(infanticide) 관습을 충실히 ...
-
커버스토리
"여자는 아이 낳는 노예 아니다 - 출산 거부가 여성해방"
여성의 선택권이라고 주장한 '보부아르' 여자가 생리적인 운명을 완전히 성취하는 것은 모성에 의해서이다. 여자의 모든 기능은 종(種)의 존속으로 그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여자의 '자연적' 천직은 바로 거기에 있다. 그러나 인간 사회는 결코 자연에 맡겨진 것이 아니다. 그리고 특히 약 1세기 전부터 산아(産兒)는 단순히 생물학적 우연에 지배되지 않고,의지에 의해 통제돼 왔다. 조심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자가 '걸렸을' 때는 남녀가 다 같...
-
경제 기타
대지진 재앙 속에 빛난 바첼레트 칠레 대통령의 '리더십'
퇴임 코앞에 두고도 침착하게 대응하며 민심 수습 나서 경제력 앞세워 철저한 대비… 아이티보다 피해 크게 줄여 남미 칠레에 지난달 27일 리히터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다.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의 아이티가 지진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은 지 한 달 반 만에 벌어진 일이다. 지진 피해는 칠레 중부 도시들에 집중됐으며 특히 67만명이 살고 있는 제2의 도시 콘셉시온의 피해가 컸다. 콘셉시온에서는 200명이 살고 있는 아파트가 무너지고 ...
-
과학 기타
지구촌 곳곳에 지진 '재앙'… 한반도 역시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다?
“한반도가 아무르판과 유라시아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 위험” 최근 연일 신문과 방송을 장악하고 있는 큰 뉴스 중 하나는 바로 지진이다. 2010년이 시작된 지 불과 두 달 만에 아이티와 칠레 등지에서 대형 지진이 연이어 발생해 큰 피해를 냈다. 아이티의 경우는 100만명의 사상자가, 칠레는 약 1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3월 들어 필리핀과 키르기스스탄에서도 각각 진도 6.1과 6.3짜리 지진이 발생했다. 최근 진...
-
경제 기타
'포이즌 필' 제도 도입 바람직한가요.
찬 “적대적 인수합병 막을 기업의 경영권방어 수단” 반 “부실경영 책임 물을수 없어 시장경제에 악영향” 기업 경영진이 적대적 인수 · 합병(M&A) 시도에 맞설 수 있도록 '포이즌 필(poison pill · 독약 처방)' 제도를 도입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포이즌 필은 경영권을 노리는 공격자를 제외한 기존 주주들에게 시가보다 훨씬 싸게 주식을 살 수 있는 신주인수선택권을 줌으로써 경영권을 방어해주는 제도다....
-
학습 길잡이 기타
③ 서술의 핵심 포인트는 '외연+내연'
이제 연습문제를 통해 지금까지 살짝 배운 문장 합치기 방법을 익혀 보자. 다음의 세 문장을 보도록 하자. <문제> ① 인터넷은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② 인터넷은 방대한 자료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찾아줄 수 있다. ③ 인터넷은 전문가와 일반 대중 사이의 정보 소유의 격차를 줄여준다. 위 세 문장을 하나의 문단에서 뽑혀져 나온 내용이라고 가정하고,이를 합쳐 보자. 지난 회에 말했다시피 문장을 합치는 가장 기본적인 기...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50>
상대속도와 만유인력 〔2010 성균관대학교 수시2 논술고사문제 中〕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경제 기타
3·1절을 기억하며… 청소년들에게 되새겨야할 역사교육 절실
"우리의 꿈나무들이 우리 한을 풀어줄 것이다."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올해,경술국치의 잊을 수 없는 상처가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해지는 분들이 있었다. 일제 강점기,12~13살의 어린 나이로 일본의 '미쓰비시 군수공장' 등으로 끌려가 노예보다 못한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근로 정신대 할머니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들은 해방 후 한국에 돌아와 일본에 갔다는 이유로 손가락질 받고 살아왔다. 정부는 그동안 이 할머니들에게 변변찮은 보상 ...